안녕하세요 개미왕김성욱입니다.
이번에는 해외선물 차트분석 삼각수렴패턴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물옵션 삼각수렴패턴은 거의 발생한다고 해도 무방할정도로 큰차트와 작은차트내에서 매우 비번하게 발생하는 패턴입니다. 대부분 대칭삼각수 / 상승삼각수렴패턴 / 하락삼각수렴패턴/이 있으며 가끔 확대형패턴이 있습니다.
선물옵션 삼각수렴패턴은 선물옵션 시장을 접근할 때 자주 사용되는 패턴 중 하나로 선물옵션 지수가 방향을 결정하기전에 자주나옵니다. 기본적으로 선물옵션 지수 고점을 연결한 추세선 두가지가 사용되며 선물옵션 지수 추세선을 돌파하거나 이탈할 때 방향이 결정된다고 보는 이론입니다. 선물옵션 삼각수렴패턴의 종류로
대칭 삼각수렴패턴 / 상승 삼각수렴패턴 / 하락 삼각수렴패턴 / 확대 삼각수렴패턴/이 있습니다.
※ 선물옵션 대칭 삼각수렴패턴
선물옵션 차트 확인시 대칭 삼각수렴패턴은 선물옵션 지수 지지선과 저항선이 수렴하면서 같은 빗변을 형성할때 만들어진다. 선물옵션 지수 서로 만나는 상승추세선과 하락추세선을 가지고 있으며 돌파시 방향이 결정되고 선물옵션 매수시기가 됩니다.
위 선물옵션 지수 차트에서 A-B 의 상승추세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C-B 하락추세선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있습니다. 이 두 선이 만나는 B지점을 정점이라하며 선물옵션 대칭 삼각수렴패턴을 완성한 이후 선물옵션 지수추세선 상단을 돌파하는 D 시점이 매입시점이 됩니다.
이때 선물옵션 지수 상승폭은 A/B/C 삼각형의 밑변만큼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선물옵션 매수 이후 목표치는 보통 위 그림처럼 삼각형의 밑변의 크기만큼을 1차 목표치로 설정합니다.
※ 선물옵션 상승 삼각수렴패턴
선물옵션 상승 삼각수렴패턴은 선물옵션 지수 저항선이 수평이고 지지선은 우상향 기울기의 선물옵션 지수 상승추세선으로 만들어져 직각 삼각형 형태로 보입니다. 이런패턴은 선물옵션 대량 거래를 동반할때 선물옵션 지수 상향 돌파가 발생하면서 완성됩니다. 선물옵션 지수 고점 돌파 시점에서 측정하는데 삼각형 밑변의 길이만큼 선물옵션 지수 올라갑니다. 삼각형의 꼭지점에 다다를수록 선물옵션 거래량이 꾸준하게 감소하다가 상항 돌파와 함께 증가합니다.
※ 선무옵션 하락 삼각수렴패턴
선물옵션 차트 확인시 하락 삼각수렴패턴은 상승삼가형의 정반대의 모습으로 선물옵션 지수 지지선이 수평이고 저항선은 우하향 기울기의 선물옵션 지수 추세선으로 만들어져 직각 삼각형 형태로 보이느 지속형 패턴의 일종입니다. 이러한 패턴은 선물옵션 지수 하락국면의 중간에 나타나면 향후 하락을 예고하느 선물옵션 삼각수렴패턴 입니다.
※ 선물옵션 확대 삼각수렴패턴
선물옵션 차트 확인시 확대 삼각수렴패턴은 상당히 보기 드문 패턴입니다. 이 패턴의 형태는 대칭삼각형을 앞뒤로 뒤집에 놓은 모습이기 때문에 삼각형의 꼭지점이 아닌 밑변에서 선물옵션 거래량이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기존 선물옵션 지수추세가 지속되는 패턴입니다. 확대삼각형이 형성된 이후 추세선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선물옵션 지수의 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그동안 주식투자로 실패를 좀하신분들은 앞으로도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실패 확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투자대상&투자상품을 변화를 주셔야됩니다.
개미왕 김성욱 입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차트 관련정보(보는방법,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매매 <피보나치> 비율 (개미왕 김성욱) (0) | 2022.03.04 |
---|---|
선물옵션 기술적분석을 활용한 매매(개미왕 김성욱) (0) | 2022.03.04 |
옵션만기일 옵션매수/매도포지션 손익 그래프(개미왕 김성욱) (0) | 2022.03.04 |
선물매매 눌림목 매매기법 (개미왕 김성욱) (0) | 2022.03.03 |
해외주식 차트보는 법 (개미왕 김성욱) (0) | 2022.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