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유동성과 신속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시장의 3대 주요기능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촘촘한 매수 / 매도 호가 스프레드
2. 유동성
3. 접근성
1. 좁은 매수 / 매도 호가는 무엇일까?
거래할 때마다 합리적인 가격에 매매를 하기 위해서는 시장의 매수 / 매도 호가가 촘촘해야 한다고 합니다. 선물 시장에서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하면 바로 최종 거래 가격에 가까운 금액을 의미 한다고 합니다.
2. 유동성은 무엇일까?
유동성이 부족하게 되면 시장에 대량의 물량이 유입되지 않고 매수자와 매도자가 공정한 가격에 거래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고 합니다. 역설적이긴 한데 유동성은 자가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유동성이 있는 시장은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는 유동성까지도 끌어모으는 힘이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유동성이 부족한 시장은 마켓메이커와 마케테이커 모두 거래를 꺼리고 유동성을 제공하기를 꺼리기 때문에 계속 유동성이 부족하게 된다고 합니다.
※ 유동성을 견이하는 동력에는 두 개의 주요 동인이 있다고 합니다.
신속성 요구
신속성 제공
신속함이 요구되는 예를 들어서 설명을 드리면 매도자가 특정 자산을 포트포리오에 보유하기보다 처분하는것이 더 현명하다고 판단할 때라고 합니다. 매도자가 하는 가격은 변동성과 해당 자산을 즉시 처분해 수익을 확정 짓는것과 일정 기간 보유하는 리스크의 함수이라고 합니다. 원하는 가격에 포지션을 정리하기 위해서 매도자는 마켓메이커가 합리적인 매수 호가를 제공하는를 거래가 이루어지면 매도자가 제거하고자 하는 가격 위험이 마켓메이커에게 이전된다고 합니다.
마켓메이커는 자신이 취한 리스크에 대해서 적절하게 보상을 받는 경우에 한해서 신속성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수익을 내려면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팔아야 할 뿐만 아니라 수수료 거래소 회원비와 같은 거래비용과 사무실 간접비 급여 및 수당 등을 포함한 비용을 커버해야된다고 합니다. 마켓메이커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자본을 사용해야 하는 기회비용도 감수해야한다고 합니다. 결국 잠재적 거래 리스크에 대한 마케메이커의 관점이 매수 / 매도 호가의 폭을 결정한다고 합니다.
3. 접근성은 어떻게 되는가?
대부분 선물 계약은 거의 하루 24시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해서 트레이더들이 언제든지 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유동성과 신속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해외선물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적인 패턴인 반전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4.22 |
---|---|
추세와 추세반전은 어떻것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4.22 |
펀드멘탈 분석은 무엇이지??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4.22 |
펀더멘탈 분석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4.21 |
오실레이터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