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선물 기본

엘리어트 이론의 기본파동은 또뭐야? (해외선물개미왕 김성욱)

by 개미왕 김성욱 2022. 3. 16.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는 엘리어트 이론의 기본파동 이라는것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이것 또한 처음접하시는분들과 초보투자자분들이 모르경우도 있고 간혹 좀하신분들중에도

자세히 잘모르시는 분들도 있기도 한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주제로 엘리어트이론의 기본파동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 엘리어트이론의 기본파동이란 무엇일까?

 

엘리어트가 발견한 금액변동의 규칙은 시장의 금액이 일정한 리듬으로 반복이 되고있습니다.

그런 리듬은 5번의 상승파동과 3번의 하락파동으로 만들어진다.

쉽게 설명드리면 한번의 금액 움직임에 모두 3번의 하락파동으로 만들어진다.

또 한번의 금액 움직임에 모두 8번의 상하파동이 존재를 하고있습니다.

그래서 상승국면의 5개의 파동은 각각 1번에서 5번까지의 파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1번 3번 5번은 상승파동에 속하며 2번 4번 파동은 하락파동입니다.

이렇때 상승하는 파동인 1, 3, 5번의 파동을 추진파동이라고 말을 할수 있습니다.

하락하는 2, 4번의 파동을 조정파동이라고 말을 합니다.

추진파동과 조정파동으로 이름을 짓어 부르는 이유는 1번 파동에서 5번 파동까지 전체적인 움직임이

상승으로 움직입니다. 시장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동을 새로운 움직임을 생겨난다는 의미에서

추진파동이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시장의 방향과는 반대로 움직이는 파동을 금액의 움직임을 조정한다는 뜻으로

조정파동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시장의 방향이 하락국면일때 하락파동이 추진파동이 되고있으며 상승파동이

조정파동이 되는 것이라고 말해드릴 수 있겠습니다. 또 1번에서 5번까지의 상승국면이 끝나면 하락국면이

시작됩니다. 이 파동들이 다시 3개의 파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때 파동들은 각자 A, B, C 라고 파동 이름이 지워진다고 합니다.

※ 각 파동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자!

 

1번 파동이란?

ㅡ>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으로 이다. 이제까지의 추세가 끝나고 나면 다시 새로운 추세가 시작이되는 시점이된다.

일반적인 경우, 제1번 파동은 5개의 파동 중에 가장 짧다. 보통의 경우 부닥 수준에서 단순한 반등 정도

간주되는 경우들이 많이 있어서 알아내기 힘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1번 파동은 일단 완성되는 것이 확인되면 앞으로 거래방향을 결정할때 핵심요소로 작용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1번 파동은 추진파동이므로 항상 5개 파동으로 형성되어야 됩니다.

 

2번 파동이란?

1번 파동의 방황과는 반대방향으로 형성이 됩니다.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38.2% ~61.8% 비율만큼

되돌리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2번 파동 최저점이 1번 파동의 최저점이하로 형성이 되는경우는 없다고 보면 됩니다.

3번 파동이란?

5개의 파동 중에서 가장 강력합니다. 가격변동도 활발하게 일어나는 파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개의 파동 중에서 가장 긴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3번 파동이 1번, 3번, 5번 파동은 추진파동중에서

가장 짧은 파동일 수는 없다고 봅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2번 파동은 가장 강력하고 금액의 변화도 활발해서

시장에서의 거래량이 최고에 이르게 됩니다. 금액의 움직임 가운데에서 갭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은 3번 파동은 1번 파동의 1.618배의 길이가 될수 있다고 말해 드릴 수 있습니다.

 

4번 파동이란?

3번 파동을 38.2% 되돌리는 경우들이 좀 있습니다. 4번의 파동이

결론적으로 1번 파동과는 겹치지 않게 됩니다.

5번 파동이란?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추세가 막바지에 이르는 국면입니다.

금액의 움직임도 거래량이 3번 파동에 비해 작게 만들어진다.

1번 , 3번 파동의 길이가 동일하며 5번 파동은 확장이됩니다. 목표는 1번 파동의

바닥에서 3번 파동의 정점까지의 거리를 1.628배의 수치를 4번 파동의 바닥에 더해서 구해야됩니다.

3번 파동이 확장됐을 때에는 5번 파동과 길이가 동일하게 됩니다.

 

※ 엘리어트 이론의 규칙을 요약하자면 어떤게 될까??※

절대불가침의 규칙

1.  2번 파동은 1번 파동 밑으로 못내려 갑니다.

2. 3번 파동이 제일 짧을 수는 없습니다.

3. 4번 파동과 1번 파동은 서로 겹칠 수도 없습니다.

(제외 ㅡ> 삼각 쇄기형에서 4번 파동이 1번파동의 아래로 내려 갈 수 있다고 합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에서는 발생할 수 없습니다.

 

이상으로 엘리어트이론의 규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한점이 있다 하시면 아래의 링크눌려  문의 해주시면 알려드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