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상 인걸핑패넡의 반대라고 할 수있습니다. 직전의 긴 봉에 완전히 감싸고 있는 작은 봉이 출현했을때 히라미라고 합니다. 하락추세에서 긴 음봉 다음 짧은 양봉또는음봉이 나왔을때 상승반전의 신호로 볼 수 있다.
서구의 lnside day 패턴과 거이 비슷하면 lnside day가 고가 또는 저가 모두가 전일의 거래범위안에 들어와야 한다고하면 히라미는 몸통만 전일 몸통 안에 위치하면 된다고 할 수있다.
<히라미는 기존추세의 멈춤을 뜻합니다.>
※ 관통형 이란?
형태상으로 두개의 몸통이 긴 캔들로 구성되어 있다. 1번째는 음봉이고 2번째는 양봉이다. 하락추세 마지막 쪽에서 발생합니다. 2번째 양봉이 첫 음봉을 관통하여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나는데 항상 2번째 양봉의 종가가 첫 음봉 몸통의 절반이상을 상향돌파 해야된다. 상향돌파 하지 않는 패턴들은 온넥, 인넥, 트러스팅패턴 이라고 합니다.
(하락지속형 패턴)
※ 남 상성형 이란?
하락세가 천천히 마무리되고 있을때 생기는 강세 반전신호로 긴 아래 그림자를 가진
긴 음봉을 형성한뒤에 2째날 높게
시작하지만 전날의 저점 위에 종가를 형성하고 3째날 음 마르보즈를 형성하고
짧은 아래 그림자를 가진 음봉이 전날
거래범위에 감싸는 모양입니다. 긴 아래그림자를 가진 긴 음봉 출현으로 매도세가
사라진다. 그리고 다음날 연속적으로
저점이 높아지고 진다. 더 이상의 하락은 없을것으로 생겨나는 형태이기 때문에
확인을 해야됩니다.
※ 동일 저점형 이란?
강세반전신호인 막대기 샌드위치형의 개념과 비슷비슷 하다.
하락추세에서 긴 음봉을 형성한 후에 다음날 높게 출발했지만 하락하여 전일 저점과 똑같은 수준에 마감을 했다고 하면
저점 수준으로 바닥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단기 반등이 임박했다고 생기는것 입니다. 음봉의 길이보다 동일 저점이 2틀에 걸쳐서 형성된다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막대 샌드위치형 이란?
두개의 음봉 사이에 하나의 양봉이 끼어있는 간단한 형태 또는 상승반전 신호이다.
두 음봉의 종가는 비슷한
수준이어야 되는데 금액대는 지지 금액대로 참조가 필요하다.
양봉 기준의 하락추세가 반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3째날에는 거래량 추이를 확인해보는것도 신호확인을 위해 꼭 확인 해야된다.
※ 사다리 바닥형 이란?
강세반전신호 이다. 하락추세가 3일 연속 지속된다. 4일째 되는날 대부분의 거래가 시가 위에 이루어졌다고 하면 비록 하락으로 마감해도 하락추세가 마무리되어가고
있다는것을 감지를 한다. 다음날 상승갭을 시현 하면서 전일의 고점보다
높게 끝나면 강세반전의 신호가 나온다고 봐도 무방하다. 마지막날 장봉이 아니라도 거래를 수반한다면 반전이 확실히 확정적입니다.
※ 상승 기아형 이란?
대표적인 상승반전형인 십자샛별형에서 십자전후에 갭이 갱기는 경우 명확한
반전신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패턴을 상승기아형이라고 합니다. 자주 나오는 패턴이 아닙니다.
※ 상승 박차형 이란?
형태상 지속패턴인 갈림길형과 비슷한데 시기가 똑같은것다고 해도 어느정도의
갭이 발생했다는것에 차이가 있다.
음 마르보즈 뒤에 양 마르보즈가 상승갭을 두고 나타난다는 것이 바로
상승박차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때 생긴 갭은 지지대로 작용합니다. 패턴전의 추세가 크게 중요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두개 마르보즈 중 긴 쪽의 방향을 따라 추후 추세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