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 다변화 와 데이트레이딩의 이점은 무엇??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포트폴리오 다변화의 이점 과 선물 데이트레이딩의 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포트폴리오의 다변화는 ??
어떤 투자 포트롤리오이든지 제일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다변화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포트폴리오 다변화는 어느 한 포지션에 대해서 노출을 상쇄하도록 도와 주고 특정 섹터의 큰 폭의 시세변동으로부터 투자자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해 준다고 합니다.
통상 트레이더는 주식과 채권 모두를 거래함으로써 포트폴리오 다변화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시장변동성이 심할 때에는 선물 및 선물옵션을 추가함으로써 포트폴리오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선물 및 선물옵션은 시장참가자로 해서 부문별 시장위험을 헤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예상되거나 또 예상치 못한 이벤트에 따른 변동성 높은시기에 부문별로 원하는 포지션 노출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해 준다고 합니다.
FOMC 회의, 실적 발표 시즌 또는 비농업부문 고용통계 등에 따른 조정이나 예상치 못한 거시적 변수에 대해서 대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선물과 선물옵션의 리스크를 헤지하고 시장 포지션을 신중하고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들어서 설명을 드리면
한 시장참가자가 기술주에 투자한 상태이고 가격변동성을 이야기 할 수 있는 발표를 앞두고 포지션을 축소할려고 한다. 이 시장 참가자는 E-Mini NASDAQ 선물시장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해서 해당 업종에 대해서 포지션을 상쇄함으로써 단기적인 가격 하락 리스크로부터 보호하고 특정 경기 지표 발표에 따른 하락 가능성을 상쇄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선물 데이트레이딩의 이점은 무엇인가?
원했던 기회를 놓치면 적지 않은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에서 데이트레이딩과 관련된 제한 사항을 살펴보고 이를 선물 시장의 데이트레딩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 최소 계좌규모 요건은 무엇인가?
단일 증권에 대해서 주 4회 이상 청산 거래를 하는 패턴 데이 트레이더가 있다고 합니다. 이 트레이더는 중개 회사 계좌에 최소한 25,000달러 상당의 자기 지분을 유지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선물 트레이더는 이와 같은 최소 계좌 금액을 충족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사실 포지션에 대해 최소 증거금만 유지하기만 하면 거래하고 싶은 규모의 거래를 수시로 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증거금은 무엇일까?
증거금과 관련해서는 주식 거래자는 하루 기준으로 자신이 유지한믄 증거금의 최대 4배까지만 거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30,000의 유지 증거금이 가용되고 있다고하면 최대 $120,000까지만 거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금액을 초과하면 추가 증거금 납부 요구로 인해서 구매력과 거래 빈도가 제한될 수 있다고합니다. 선물의 경우에 그와 똑같은 증거금으로 훨씬 더 큰 명목 금액을 거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공매도 제한은 무엇인가?
주식 데이 트레이더가 일반적으로 직면하는 다른 문제는 공매도에 필요한 주식을 먼저 차입해야 공매도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 공매도 할 주식을 구하지 못하는 이유도 다양하게 있다고 합니다. 이에 비해서 선물 트레이더에게 그와 같은 공매도 제한 사항이 없다고 합니다. 매도 포지션도 매수 포지션처럼 똑같이 취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최소호가단위는 무엇인가?
끝으로 트레이더가 주식을 공매도할 때, 마지막 거래 가격보다 적어도 한 호가 단위 높게 매도해야된다고 합니다. 이같은 제약은 주식 트레이더가 하락 장세에서 공매도 포지션을 잡지 못할 가능성도 있어서 시장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포트폴리오 다변화 이점과 선물 데이트레이딩의
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