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CTD 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국채 CTD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국채에 더 깉이 들어가서 최저가인도채권, CTD 채권에 대래서 알아보는 시간이 되겠습니다. 각각의 미국 국채 선물계약은 다수의 적격인도증권이 지정되어 있어서 그 중 하나 와 때로는 두 개의 채권이 매도포지션 보유자가 매수 포지션 보유자에게 인도하는 입장에서 가격상 제일 유리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 채권은 다른 인도 가능 채권들에 비해서 인도비용이 제일 싸게 들기 때문에 제일 효율성좋은 채권이라고 합니다.
선물 계약은 CTD 채권 기준으로 거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어느 채권이 최저가인도가능채권, 즉 CTD인지를 알아내는 것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는 또 선물계약의 이론적 베이시스포인트금액이 CTD채권으로부터 계산되기 때문에 헤지비율을 계산할 때에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 CTD의 결정 요인은 무엇일까?
어떤 종목이 CTD인지를 확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더 깊이 알아보기전에 이런 계산에 반영되는 시장세력에 대한 배경을 조금 들여다 보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현재 상장된 미국채 분기물 선물 계약의 전형적인 결제가격을 잠시 확인해보면 가격형성에 뚜렷한 패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서 보면
2017년 2월 10일 현재 상장된 10년물 국채 분기물 선물들의 결제가격은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2017년 3월물 = 124-250
2017년 6월물 = 124-075
2017년 9월물 = 123-280
선물계약의 만기가 멀어질수록 가격은 떨어지는 것을 주목해야됩니다. 여기에는 그럴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미국 국채선물계약의 기초자산은 발생 시에 정해진 이자율대로 매년 2회 이자를 지급하는 미국 국채이라는 것을 기억해야됩니다. 이것은 국채 현물은 자산이라는 것을 뜻한다고 합니다. 선물계약은 자산이 아니라고 합니다. 단지 미래의 인도분에 대해서 가격 수치만 나타낼 뿐이라고 합니다. 이 기회비용 돈의 시간가치 때문에 선물가격은 현물 대비 할증 또는 할인으로 거래가 된다고 합니다.
※ 수익률 곡선은 무엇인가?
위 가격이 공표된 2월 10에는 미국 국채의 수익률곡선은 정상적인 우상향 모양으로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도 낮은 상황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수익률곡선이 정상적인 모양이면 소위 양의 보유비용을 가져온다고 합니다. 만약에 익일물을 차입해서 고금리의 미국 장기 국채를 매수한다고 하면 양의 보유비용만큼의 이익을 누리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현물 실물증권에서의 이익을 감안하기 때문에 선물계약은 할인되서 거래되다가 인도시점에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현물가격에 가까워져야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 예를 들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것이 왜 가능하고 CTD에 왜 중요한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그 계산과정을 확인 해보시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2021년 11월30일 만기인 1-3/4% 이표부 채권을 매수하는 경우를 예를들어보겠습니다. 이 채권은 2017년 3월물 5년만기 선물계약의 인도적격증권이라고 합니다. RP시장에서 자금을 차입해서 이 증권을 매수하면 이 차입포지션이 있는 동안 매일 RP금리를 지불하게 된다고 합니다. 보유비용은 이자 수입에서 자금조달비용을 차감한 금액이라고 합니다.
보유비용 = 쿠폰이자 - 자금조달비용
이는 순 베이시스가 제일 낮은 증권이 CTD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합니다.
※ CTD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CTD 증권을 결정하는 널리 인정되는 또 다른 방싱이 있다고 합니다. 이는 내재 RP 금리방식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이는 현물 증권을 매수하고 선물계약을 매도한 후 매수한 현물 증권을 RP 시장에서 대여했다가 최종인도일에 선물계액에 대해서 인도하는 경우의 이론적 수익률이라고 합니다.
제일 높음 IRR을 보이는 종목이 일반적으로 CTD로 간주된다고 합니다. 이 방식들을 적용해 보면 두 가지 모두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쉽게 말해 블룸버그 단말기에는 두 가지 방식 각각을 사용한 미국 국채선물의 CTD 계산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CTD를 안다는 것은 선물계약의 시세형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미국 국체선물계약은 그 CTD 채권과 같은 거래 형태로 보인다고 합니다. CTD종목을 결정하는 요인을 아는 것은 미국 국채선물의 시세형성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CTD종목이 어떻게 시세가 변하는 지를 이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국채 CTD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