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기법

해외선물 체결강도는 무엇일까? (개미왕 김성욱)

개미왕 김성욱 2022. 5. 17. 17:02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해외선물 체결강도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합니다.

 체결강도는 무엇일까?

선물또는 주식거래를 해보신 투자자분들이라면 체결강도라는 단어들은 한번쯤은 들어보았을꺼라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체결강도에 대해서 무슨 의미인지 대충은 느낌이 오지만 정확하게는 모르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체결강도는 종목거래의 현재 시점에서 매수세 강세인지 아니면 매도세 강세인지를 표시해주는 지표입니다.

수식으로 말하면

체결강도 = 매수체결량 ÷ 매도체결량 × 100%

 

체결강도가 100%보다 높으면, 이는 매수체결량이 매도체결량보다 많다는 것으로, 매수세 강세로 해석이 된다고 합니다.

 

반대로, 체결강도가 100%보다 낮으면, 매수체결량보다는 매도체결량이 많다는 것으로 매도세 강세로 해석이 된다고 합니다.

 

체결강도가 100%인 경우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는 매수세 강세 또는 매도세 강세도 아닌 보합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매수 및 매도체결량은 결국 양쪽에서 매매를 하는 것인데, 어떤 기준으로 매매를 매수체결 또는 매도체결로 구분을 해야될까? 라는 질문에는 시장가이라고 말을 할수 있습니다.

 

매수세가 강하다는 것은 시장가가 싸다는 뜻이고,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은 시장가가 비싸다는 뜻입니다. 다르게 표현을 하면 매도체결은 시장가보다 싸게 거래되는 것이고, 매수체결은 그 반대의 경우를 뜻하는 것입니다.

 

체결강도가 세력개입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 종종 사용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체결강도가 높으면 매수세가 강하다는 것이고, 주가는 상승하는 것이 맞다고 합니다.

 

그런데 세력들이 개입한 종목에서는 체결강도가 100% 이상이더라도,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물론 반대로 체결강도가 100% 이하인데도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앞에서 말한 100%이상에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는, 세력들이 개미들의 물량을 매집하는 것으로 해석을 할수 있다고 합니다. 또 100%이하에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는 개미들에게 지분을 매도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호가창만 보고 거래를 하는 투자자라고 하면 이런 세력들의 전략적인 매매방법에 휘둘릴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체결강도는 이런 세력들의 의도를 파악하는 동시에 개미투자자가 역으로 이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대량매매에 따른 거래량은 평소와 다른 양상을 보일 때, 주가의 방향을 왜곡시키시도 합니다. 체결강도는 거래량과는 상관없이 매매세력을 구분할 수 있기때문에 각종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이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체결강도는 보조지표에 한 종류이기 때문에 과도한 신뢰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체결강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