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형 흑자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불황형 흑자 의미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불황형 흑자는 무엇일까?
불황형 흑자는 경기 불황기에 접어 들었을 때 수출과 수입이 함께 둔화되면서, 수입이 수출 감소량 보다 더 많이 줄어 들어서 발생하는 것을 불황형 흑자이라고 말합니다. 즉, 불황형 흑자는 수입감소폭이 수출감소폭을 상회해 무역수지가 흑자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많을 경우, 즉 벌어들인 돈이 더 많을 경우에 무역흑자이라고 합니다. 쉽게 예를들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가 외국에 자동차를 10조원어치를 팔고, 외국으로부터 핸드폰을 5조원어치 사들였다고 하면, 자동차와 핸드폰으로 인해
서 무역수지는 5조원의 흑자를 기록하게 됩니다.
반대로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많다고 하면 무역적자가 나느 셈이라고 합니다. 자동차를 5조원어치 팔고 핸드폰을 10조원어치 사들였다고 하면 자동차와 핸드폰으로 인한 무역수지는 5조원의 적자가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불황형흑자는 분명 무역수지가 흑자라는 것을 확실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비교대상이 수입액과 수출액만을 비교하는 것이 아닌 기간을 같이 비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불황형 흑자의 원인과 문제점은 무엇일까?
불황형 흑자의 원인은 말그대로 나라 경제가 불황에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 불황형 흑자의 원인은?
▶ 원유와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인해서 수출단가 하락합니다.
▶ 신흥국 경기침체 및 글로벌 교역량 감소합니다.
▶ 인구 고령화에, 생필품 물가상승, 소득정체 등에 따른 내수침체
▶ 가계부채 증가합니다.
국제 유가와 원자재값의 하락으로 인해 절대적인 무역금액이 하락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무역량 자체가 줄어든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국내경제의 펀더멘털은 견고하다고 판단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가계부채 증가, 고령화 등의 문제로 내수침체가 지속됨에 따라서 수입량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합니다. 팍팍한 삶에 소비 자체를 줄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 불황형 흑자로 투영된 것이라고 합니다.
불황형 흑자가 지속되면 어떤 문제점이 생길까?
※ 불황형 흑자의 문제점은?
▶ 수출이 부진한 가운데 흑자가 확대될 경우 수출경재력 약화
▶ 외화유입이 지속될 경우 장기적으로 원화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부진 초래
▶ 무역 상대국과의 무역 마찰 가능성 증대
무역수지 흑자로 달러유입이 지속될 경우 장기적으로는 원화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가격 상승이 수출부진을 초래할 수 있다고합니다.
또 전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추세와 맞물려, 흑자규모 확대가 지속될 경우 무역 상대국과의 무역마찰 가능성이 증대될 수 있다고 합니다.
미국은 한미 FTA를 시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적자를 봐왔다고 합니다. 미국 입장에서 계속해서 적자가 나는 사업을 지속하고 싶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한미 FTA 재협상 이슈가 무역마찰의 대표적인 예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밖에도 최근 철강시장에서의 반덤핑 관세, 영국의 브렉시트, 미국의 보호무역 등을 꼽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불황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흑자 라는 단어때문에 얼핏보면 좋아 보일 수도 있지만 이 단어는 사실 장기적으로 봤을때 결코 좋은 뜻을 내포한 용어는 아닌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