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기초다지기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프로와 경제용어(전환사채, 정크본드, 주가수익률, 주가지수)

개미왕 김성욱 2022. 8. 18. 12:28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프로입니다.

오늘도 경제용어 몇 가지를 간단하게 살펴보려고 하는데요. 투자나 재테크를 함에 있어서 알고 있으면 언제 도움이 될 지 모르니 참고 부탁드릴게요. 가볍게 읽어주셔도 됩니다.

오늘 알아볼 경제용어는.

전환사채 / 정크본드 / 주가수익률 / 주가지수 입니다.

전환사채

전환사채(Convertible bond)는 CB라고 불리기도 하며,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사채라고 합니다.

전환 청구 기간 내에 전환권을 행사함으로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신주를 인수가  가능한데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채지만 만약 채권 발행 후 즉시 주식으로 전환해버린다면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어요. 그렇게 발행 후 즉시 전환권을 행사하게 되면 주가가 급락할 수 있어 일반 주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즉시 발행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거기에 덧붙여 사채를 발행한 날부터 일정 기간의 거치기간을 두는 게 일반적이라고 하죠.

채권과 주식의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음에 따라오는 장점으로는 투자자의 눈으로 봤을 때 주식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면 만기까지 채권으로 가지고 계셔도 되고, 주가가 오를 땐 주식으로 바꿔서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는 것이죠.

정크본드

정크본드(Junk bond)는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고위험이면서 고수익인 채권을 말하는데요.

정크는 저희가 흔히 알고 있는 Junk, 즉 쓰레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죠. 여기에서는 위험하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는데요. 그만큼 수익성은 보다 높다고 할 수 있겠죠?

정크본드는 미국의 신용평가기관의 무디스 신용등급 Ba1과 S&P BB이하인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분류가 되는데요. 등급에 B가 들어가는 것부터 감이 오시나요? 이렇게 신용도가 낮은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위험부담이 크지만,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아시죠? 위험성이 있는만큼 이자가 높아서 수익이 높다는 특이사항도 있습니다.

주가수익률

주가수익률(Price earning ratio)는 PER이라고도 하구요.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 지를 나타내주는 지표라 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갑이라는 회사가 순이익이 1,000만원이고 총 주식수가 1만주라 한다면, 갑이라는 회사는 1주다 1,000원의 수익을 낸 것인데요. 이 때에 이 1,000원이 주당 순이익이 되는 것이며, 주가수익률은 주가/주당순이익이라는 계산으로 현재 주가가 10,000원이면 10,000/1,000이 되는 것이니 주가수익률은 10이 되는 것이죠.

이 주가수익률이 낮으면 기업의 주가가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 되어있다고 말합니다. 이 주가수익률은 순이익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적자인 기업에 대한 평가는 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보통 PER이 10 이하인 경우에는 저평가로 분류하고 있구요.

주가지수

주가지수(Stock price index)는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가격을 일정한 방법으로 계산한 값을 말하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증권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서 조금 알 수가 있어요. 주가지수가 올랐다는 것은 주가가 오른 주식이 많다는 것을 뜻하는데요. 반대로 내려갔다면 주가가 내려간 주식이 많다는 말이겠죠? 한국의 대표 주가지수는 코스피와 코스닥이 있으며, 미국엔 S&P 500과 다우, 나스닥을 말할 수 있겠습니다. 주가지수는 한 국가의 경제 상태를 보여준다 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경제지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도 간단하게 몇 가지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프로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