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관련정보(보는방법, 종류)

엘리엇 파동이론!이것을 알고싶다(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개미왕 김성욱 2022. 9. 9. 10:29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입니다.

오늘 포스팅할 주제는 엘리엇 파동이론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엘리엇파동이론이란?

주가는 연속적으올 8개의 파동이 사이클을 이루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이론이므로, 주가변동을 예측하는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회계사 출신 아마추어 주식 분석가인 랠프 넬슨 엘리엇이 1938년(the wave principle)라는 저서를 통해발표한 이론으로써, 21세기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주식의

등락을 예측하는 기초적인 증권시장 기술분석 기법으로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1930년도 미국의 R.N 엘리언(1971~1948)이 개발한 주가변동이론이므로, 주가의 변화는 대자연의 법칙과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움직인다고 주장을합니다.

연구 당시 과거 75년 동안의 주가 움직임에 대한

연간·월간·주간·일간·시간, 심지어 30분 단위에 데이터를 모은다음 분석해서 만들었습니다.

이 이론은 1987년 미국 주식

시장 사상 최악의 폭막을 맞은 '블랙 먼데이' 직전, 다른 모든 시장예측과는 달리 대폭락의 가능성을 예고한

토대이론으로 활용이되어서 최상의 예측도구로 곽광 받게 됩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은 기본족으로 패턴, 비율, 시간이라는 세 가지 요인을 기반에 두고 있다,

그중 패턴을 가장 중요시하게 여겨진다.

주가 변동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움직이며 끝없이

순환하면서 시장의 추세를 이어간다는 것이 이론의 골자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주가는 연속적인 8개의 파동(상승 5파와 하락 3파)이

하나의 사이클 형성하면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을 하게되는 패턴을 보이게 됩니다.

 

이론에  따르게 되면, 주가는 상승 5개 파동과 하락 3개 파동등 8개 파동이 하나의

사이클을 환성된 후에 또 다시 새로운 파동이 시작이됩니다.

이때 상승 5개 파동은 1·3·5번의 충격파동과 2·4번의 조정파동으로 구성이 됩니다,

하락 3개 파동 역시 1번과 3번 충격파동과 조정파동으로 구별이됩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하며 이 이론은 몃 개의 법칙과 준칙들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시장상황에 따라 연장 파동이 나타나기도 하고 미달형이

발생하기도 하는 등 예외적인 요소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리고 엘리엇파동이론은 원래 뉴욕의 다우공업평균

같은 주가지수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연구가 되어있습니다.

개별 종목들의 움직임에 적용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나 이 이론에서 피보니치 수열을 근간으로 하여서

주가 상승 후에 조정의 조정의 폭을 분석을한다음 주가의 방향을 찾으면서,

주가 어디까지 오를 수 있는지에 대한 목표가격을 예측하는데,

이처럼 주가의 상승과 하락 시점은 피보니치 수열과 관련이 되어 있다고 봅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의 단점으로는 파동의 시작과 끝이 명확하지 않으며,

하나의 파동에 걸리는 기간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 들을 꼽을 수가 있습니다.

 

1)의의

 

엘리엇 발견한 가격변동의 법칙은 시장의 가격이 일정한

리듬으로 반복이되며 이러한 리듬은 상승국면의 5개 파동과 하락국면의 3개파동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한번의 가격이 움직임에는 모두 8번 상하파동이 존재합니다.

상승국면은 5개의 파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1번 3번, 5번 파동은 상승 파동이고, 2번과 4번파동은 조정파동입니다. 1번에서 5번까지 상승국면이 끝나고 하락국면이 시작이되는데

이 파동을은 다시 3개의 파동으로 나눌수가 있습니다.

이 파동들은 각각 a, b, c의파동으로 이름지어진다. a, c는 하락파동이며 b파동은 조정파이다.

 

각각 파동은 충격파동과 조정파동으로  분류를 하게됩니다.

충격파동은 전체적인 시장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셩성되는 파동을 말합니다.

조정파동은 이러한 움직임을 거스르는 방향으로 나타나는 파동을 말합니다.

 

1번 파동, 3번 파동, 5번 파동, a파동 그로 c 충격파동이

되며 2번 파동 4번 파동 및 b파동이 조정파동으로 구별이 됩니다.

그리고 각각 파동은 형성되는 기간을 기분으로

초단기순환부터 대규모 장기순환까지 여러 단계로 세분 될수 가있습니다.

2)파동의 특징

 

1. 1번파동

1번파동은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으로서 이제까지의 추세가 일단 끝나고

다시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출발점입니다.

일반적으로는 1번 파동은 5개 파동 중 가장 짧으며,

보통 경우는 바닥수준에서 단순한 반등이 정도로 간주되는 겨웅가 많아 알아내기가 힘들다고합니다.

그리고 1번 파동은 충격파동이므로 단드시 5개의 파동으로 구성이되어야합니다.

2. 2번파동

보통 2번 파동은 1번파동률이 38.2%또는 61.8%  비율만큼 되돌리는 경향을 높고 1번파동을 100%이상 되돌리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리고 2번파동은 상격상 조정파동이므로 반드시 3개의 파동으로 성이 되어야합니다.

3. 3번파동 

3번파동은 5개의 파동중애서 가장 강력하고 가격변동도

활발하게 일어나는 파동으로 5개의  파동중 가장 긴건이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거래량도 최고조에 이르게 되며

가격의 움직임 가운데에서 갭이 나타나는 예도 많습니다.

4. 4번파동

4번 파동은 어떤의미로는 예측하기 용이한 파동으로 일반적으로 3번 파동을 38.2% 되돌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3번 파동을 5개의 작은 파동으로 나누었을 때

그 중에서는 네 번째 파동만큼 되돌아가는 경향이 높습니다.

5. 5번파동 

5번파동은 이제까지 진행되어 온 추세가 막바지에 이르는 국면으로

가격의 움직임도 3파동과 비교하여서 그리 활발하지 못합니다,

거래량도 3번 파동에 비하여 적게 형성이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1번파동과  똑같은 길이로 형성되거나 

또는 1번에서 3번 파동까지 길이의 61.8%만큼  형성되는 경향이 높습니다.

6. a파동

1번파동에서 시작된 가격움직임의 추세가 5번 파동에 이르러 끝나며

a파동부터는 이제까지의 추세와는 반대방향으로

추세가  시작되는 충격파동일므로 반드시 5개의 파동으로 구성이 외어야합니다.

7. b파동

b파동은 새로롭게 시작되는 하락추세에 반발하는 매입세력이

시장에 나타나면서 형성되며 이보통의 경우는  거래를 그리 활발하지 못합니다.

이파동은  1번파동에서 비롯된 상승추세가 잠깜 동안의 조정기

a파동을 거친 이후에 다시 상승움직음을 재개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믿기 쉬운 파동으로 b파동이야말로 이제까지의 

상승국면에서 가지고 있는 매입 포지션을 정리할 마지막 기회입니다.

8. c파동

c파동은 세번째 파동이라는 점에서  3번 파동의 성격과 유사하고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있으며 도중에 갭이 나타나는 등 가격의 변동폭이 큽니다.

이 파동에서는 실망감과 두려움에서 비롯된 투매의 영향이므로 가겨그이 하락폭도 빨리 꺼지게됩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 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 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