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기본

조정 파동의 비율 관계와 중점과 비율이란?(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개미왕 김성욱 2022. 10. 28. 09:43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 왕 김성욱입니다.

오늘 포스팅할 주제는 엘리어트 조정 파동의 비율 관계와 중점과 비율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로 알아볼 것은 조정 파동의 비율 관계가 무엇인지 말씀해드리겠습니다

 

1) 전체적인 국면의 조정 비율이란?

전체국면을 1로 볼 때, 황금분할 지점이 조정의 깊이가 되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조정의 끝점은 0.618 또는 0.382가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조정파동 전체를 바라보는 관점이며,

내부 파동의 비율 관계는 되돌림이 아

닌 배수의 관점으로 분석을 하게 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시면 조정의 성격에 따라서 되돌림 비율은 달라지게 됩니다.

가격조정의 성격인 지그재그 패턴은

2번 파동, 지그재그 안의 B파동, 다중 지그재그 안의 X파동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선 파동을 0.618 또는 0.5 만큼 되돌리게 됩니다.

반면에, 기간조정의 성격인 횡보 조정은

플랫, 삼각형, 이증삼파, 삼중 삼 파로 나타나고 있으며 0.382만큼 되돌리게 됩니다.

 

2) 지그재그의 비율 관계란?

지그재그에서 파동 C는 대개 파동 A와 같지만.

1.618배 내지 0.618배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관계는 이중 지그개즈 안의 파동 W와 Y에도 똑같이 적용이 됩니다.

3) 플랫의 비율 관계란?

플랫은 일반형 패턴에서 아래 첫 번째 그림과 같이 A, B, C가 비슷한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확 장혁일 땐 파동 B는  1.236배가 될 수 있거나 파동 A를 0.618배만큼 초과를 하게 됩니다

드물겠지만, 파동 C가 파동 A의 2.618배가 되기도 합니다.

 

4) 삼각형 비율 관계란?

삼각형은 한 칸 건너뛴 파동 중에서 적어도 두 개는 서로 0.168의 비율을 형성하게 됩니다.

즉, 파동 C = 0.618 A, 파동 D = 0.618 B, 파동 E = 0.618C 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확장 삼각형일 때는 0.618의 역수인 1.618을 적용하게 됩니다.

드물게 인접한 파동 간에 비율이 형성되기도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배수 비율은 한 칸 건너뛴 파동 간의 관계라는 걸 명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5) 기타 비율 관계란?

 

다중 삼 파에서는 대체로 W, Y, Z가 서로 비슷한 크기이겠지만

셋 중 하나가 삼각형일 때에는 다른 조정파동 대비 0.618의 비율을 형성하게 됩니다.

 

동인 파동 내에서는 4번 파동은 2번 파동과 같은 비율이거나,

피보나치 비율의 관계를 형성하게 되겠습니다.

이는 조정파동으로서 되돌림 비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두 파동 간의 직접적인 비교 관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보통 2번 파동의 되돌림이 0.618 4번 파동은 0.382로

직전 충격 파동 대비로는 다른 비율이겠지만,

툴을 직접 비교해보시면 파동의 크는 서로 비슷하거나

피보나치 비율 관계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그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파동의 충

전과 비율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파동의 중첩

시장에서는 항상 모든 규모의 추세가 동시에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파동의 규모는 다양하고 동시적이며

그에 따른 피보나치 비율도 다양하며 동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즉, 여러 개의 비율이 겹치는 지점은 대개 여러 규모에 걸친 변곡점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목표지점은 세 가지 비율이 겹치는 지점으로,

조정의 끝이나 파동 3을 시작하는 주요 변곡점인 걸 알 수 있습니다.

파동 1의 조정, 플랫의 (C) 파동, (C) 파동의 5번 파동이 모두 여기서 마무리가 되겠습니다.

여러 개의 비율이 한지점에서 겹치게 된다면, 

물론 실제 매매에서는 파형을 올바르게 파악을 하시는 게 먼저입니다.

다만, 진행 중인 파동을 확장 짓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비율 분석에서 단서를 얻어야 하는데,

파동의 길이를 자주 비교해보시면 

피보나치 비율이 파동의 끝점을

정하는 열쇠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2) 추세 내의 파동 중첩

 

다음 그림은 추세 궤도를 포함한 이상적인 파동의 사례입니다

이 파동은 시장에서 피보나치 비율이 형성되는 양상을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덟 개의 관계가 형성이 됩니다.

 

1)  2 = 0.618 x 1

2) 4 = 0.382 x 3

3) 5 = 1.618 x 1

4) 5 = 0.618 x 0~3

5) 2 = 0.618 x 4

6) 2에서, (A) = (B) = (C)

7) 4 내에서, (A) = (C)

8) 4내에서, (B) = 0.236 X (A)

두 개의 이상 비율이 겹치는 2,3,5는 주여 변걱점으로서 조정의 끝이거나

전체적인 국면의마무리 지점입니다

즉, 조정 의 미지막과 국면의 마지막 지점이 됩니다.

죽, 조정의 마지막과 국면  마지막은  두 개 이상의 비율이 

펼칠 확률이 높다는 것입니다.

이를 하나 주가에서 보기 쉽게 설명해드린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피보나치 비용과 시간의 관계에 대해선

명확하게 밝혀진 게 없습니다.

그나마 배너의 이론 정도가

피보나치 시계열에서 의미 있는 패턴이 있겠지만

이마저도 주기가 상당히 길어서, 실전에서 크게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 주제인 피보나치

조정 파동의 비율 관계와 중점과 비율이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 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 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