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기본

파생상품 양도소득세 무엇?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개미왕 김성욱 2022. 3. 14. 13:00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주제는 파생상품의 양도소득세에 대해 질문을 많이 하시는 5가지 질문을 알아보겠습니다.

1. 국내 주식/해외 주식/배당세/ ETF/ ETN/ 파생상품들은 각각 어떻게 묶이고 계산을 해야 할까?

- 국내주식/ 해외주식/국내+해외 파생상품으로 묶어서 계산하면 되겠습니다. 일단 국내 주식은 양도소득세를 

낼만한 투자자분들은 이 글을 읽지 않을 것 같아서.. 작성을 따로 하지않겠습니다. 이유는 저희는 해외하시는 분들이 볼꺼라고 예상이 들어서 해외꺼만 작성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해외 주식과 파생상품으로 250만원의 수익을 낸 투자자를 기준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해외주식 시세차익으로 250만원 이상의 수익을 냈을 경우 250만원을 공제하고 22%의 세금을 적용받게 된다.

예) 270만원 해외주식 시세차익 →20만원 × 0.22의 세금 납부

국내 선물 1000만원 시세차익, 해외옵션 250만원 시세차익 → (1250만원 - 250만원 = 1000만원) ×11% (파생상품은 11%)

해외주식 시세차익 200만원, 국내 선물 200만원 해외선물 -100만원 →해외주식 소득 200, 파생상품 (국내 + 해외) 100만원이므로 각각 공제 한도를 초과하지 않아서 양도소득세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2. 청산을 하고 수익이 확정이 되어야 세금을 내야하는가?

만약 세금을 냈는데 주가 폭락으로 손해를 보면 세금을 환급하는 과정이 어렵기 때문에 청산시점으로 세금을 납부해야 됩니다.

예를 들면 해외주식으로 2020 12월25일까지의 청산 수익이 200만원, 2021년 1월2일에 추가적으로 2000만원의 수익이 났다면 2021년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는 세금 부과 대상이 아니며 2021년의 종합적인 순익을 합쳐서 2022년에 2021년의 세금을 납부하면 된다.

 

자동고지서는 또 오지않고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자진으로 납부하셔야 하며 만약 이를 잊어버릴 시 가산세까지 포함되어 더많은 세금을 내어야 된다.

그렇다면 탈세도 가능할까? 라는 생각을 하실수도 있는데요.

증권사를 통해서 거래를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증권사에서 국세청으로 보고가 들어가서. 탈세가 불가능하다.

ETF, ETN은 어디에 포함이 되어 있을까?

주식처럼 포함이 되고. KODEX 레버러지로 손해를 봤다고 하더라도 파생상품과

다르게 독립이 되어서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된다.

 

수익도 진짜 중요하긴 하지만 세금도..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