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선물 기본

선물옵션 보조지표 A/D 사용방법은? (해외선물 개미왕김성욱)

by 개미왕 김성욱 2022. 4. 12.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선물옵션 보조지표인 A/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선물옵션 A/D 보조지표는 무엇인가?

 

선물옵션 A/D는 Marc Chaikin에 의해서 고안된 선물옵션 가격과 선물 거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선물옵션 모덴텀지표로써, 선물옵션 가격이 상승할 때는 많은 선물옵션 거래량을 수반하게 되고, 가격이 하락할 때에는 선물옵션거래량이 줄어든다는 것을 전제로 논하고 있다고 합니다.

 

※ 선물옵션 매매시 적용방법은 무엇인가?

 

선물옵션 A/D는 상승은 선물옵션 매매 시 매집을 의미해 선물옵션 가격의 상승을 예고하고, 선물옵션 A/D의 하락은 분산을 의미해서 선물옵션 가격의 하락을 예고하는 것으로 본다고 합니다. 한편으로 선물옵션 가격과 선물옵션 A/D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다이버전스가 나타나고 선물옵션 가격의 추세전환이 임박했다고 예상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특정 주식, 지수 또는 유가증권의 거래량이나 돈의 흐름을 측정하는데 사용 가능한 지표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가장 유명한 거래량 지표 중 하나는 매집/분산 선이라고 합니다.

 

매집/분산 선을 포함시킨 거래량 지표들 뒤에 있는 기본적인 전제는 거래량이 가격으로 선행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거래량은 특정 주식의 거래 주식의 양을 반영을하고 한 주식과 관련해서 돈이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상황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고 합니다.

 

한 주식이 상승하기 전에 여러번 거래량이 증가하는 기간이 있게 된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거래량 또는 자금 흐름 지표는 가격이 움직이지 전 + 또 -의 거래량 흐름을 증가는 조기에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져있다고 합니다.

※ 방법은 무엇인가?

 

매집/분산 선은 한 유가 증권으로 유출입되는 자금의 흐름을 평가하기 위해서 Marc Chaikin이 개발을 하였다고 합니다. 매집/분산 선 뒤에 숨어있는 방법론을 알아보려면 가장 앞선 거래량 지표들 중 하나를 조사해 비교해보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1963년 Joe Granville은 +와 -의 거래량 흐름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유명한 지표들 중 하나였던 OBV를 개발 하였다고 합니다. OBV는 종가가 상승할 때 해당 기간의 거래량을 더하고 종가가 하락할 땐 거래량을 빼는 비교적 단순한 지표이라고 합니다. +와 -거래량 흐름의 누적된 총량이 OBV선을 구성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선은 다이버전스나 확인을 위해서 해당 증권의 가격 차트와 비교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매집/분산 선을 개발함에 있어서 Chaikin은 다른 접근방식을 취했다고 한다. OBV는 첫 번째 기간에서 다음번의 기간까지 종가상의 변화를 이용하여 거래량을 +또는 -로 평가한다고 합니다. 어떤 주식이 저가로 시작해 고가로 끝났다고 하면 종가가 그 이전 기간의 종가보다 낮은 한 극 기간의 OBV값은 -이라고 합니다.

 

Chaikin은 한 기간에서 다음 기간까지의 변화를 무시하기로 한 대신에 주어진 기간의 가격 변동에 중점을 두었다고 합니다. 그는 해당 기간의 범위에 대해서 종가의 위치에 기초해 값을 계산해낼 수 있는 공식을 이끌어냈다고 합니다. 우리는 이 값을 "종가 위치 값" 또 CLV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CLV의 범위는 +1에서 -1까지 이고 중앙 지점은 0이라고 합니다.

 

※ 기본적으로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 C - L ) - (H - C )) ÷ ( H - L )) = CLV

1. 주식이 범위의 상단에서 고라고 끝나면 값은 +1이 된다고 합니다.

2. 고저 범위의 중간지점 위이긴 한데 고가 아래에서 종가가 형성되면 그 값은 0과 1사이가 된다고 합니다.

3. 고저 범위의 중간지점 위이기는 하나 고가 아래에서 종가가 형성이되면 그 값은 0과 1사이가 된다고 합니다.

4. 주가가 고저 범위의 중간 지점 밑에서 끝나면 그 값은 -가 된다고 합니다,

5. 주가가 저가, 즉 범위의 절대바닥에서 끝나면 그 값은 -1이 된다고 합니다.

또 CLV는 해당 기간의 거래량만큼 곱하고, 누적된 총계는 매집/분산 선을 구성한다고 합니다.

 

CIEN의 일간 차트는 매집/분산 선을 쉽게 설명하고 다른 종가 수준이 어떻게 값에 영향을 주는지 보여준다고 합니다. 상단 부분은 CIEN의 가격 차트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고저 범위 대비 종가 부분 수준은 분명 가시적이라고 합니다. 흑색 히스토그램이 있는 둘째 부분은 종가 위치 값이라고 합니다. CLV는 거래량을 곱하며 그 결과는 녹핵 히스토리그램에 나타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매집/분산 선은 바닥에 있다고 합니다.

 

- 매집/분산 선의 시그널은 엄청 직접적이고 다이버전스와 확인 중심이라고 합니다.

- 강세 시그널은 매집/분산 선이 +다이버전스를 형성할 때 주어진다고 합니다. 높은 반등 고가를 만들어내지 못한 약한 + 다이버전스 또는 비교적 생긴 지 얼마안된 + 다이버전스를 조심해야됩니다. 주요 이슈는 매집/분산 선의 추세를 확인 해 내는 것이라고 합니다. 2주 + 다이버전스는 약간 의심의 여지가 있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수 개월 된 + 다이버전스는 진지하게 관찰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약세 시그널은 +다이버전스에 적용되는 동일한 원칙이 -다이버전스에도 적용된다고 합니다. 주요이슈는 매집/분산 선의 추세를 확인해 해당 증권과 비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시작된지 얼마 안된 다이버전스 또는 비교적 움직임이 없는 다이버전스는 의심을 갖고 지켜보아야한다고 합니다.

 

-매집/분산 선은 포지션 드롭 다운 메뉴를 사용해서 유가증권의 가격 플롯 위 또는 아래의 지표로 설정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단순이동평균의 기간 수를 매개변수 텍스트 박스안에 입력을 해서 그 단순 이동평균을 이 지표에 추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선물옵션 조지표 A/D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