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선물 기본

블록딜은 무엇이지??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by 개미왕 김성욱 2022. 4. 14.

반갑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포스팅 내용은 블록딜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블록딜 정의는 어떻게 될까?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가 매도를 할려고 할때 사전에 주식물량을 인수할 매수자를 구해서 주식시장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장이 끝난 후에 지분을 넘겨주는 거래를 말하는 것입니다. 정규장에서 매도매수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영향을 최소화시킨다고 합니다.

 

※ 블록딜의 특징은 무엇인가?

 

1. 블록딜은 주로 증권사 또는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대량거래를 하면서 일반적으로 현주가 시세의 5~8% 할인된 가격에 거래가 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주식을 대량으로 가지고 있는 큰손들이 할인된 가격으로 물량을 매도한것을 말합니다.

 

2. 블록딜 거래 직전 증권업계는 관행적으로 공매도를 해서 차익을 챙긴다고 합니다. 블록딜시 대부분 주가가 하락하게되는데 블록딜 입장에서는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서 공매도를 할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 블록딜시 주가의 움직임은 어떻까?

 

대부분의 주식은 블록딜시 하락을 하게 됩니다. 그이유는 회사의 사정을 잘알고 있는 경영자 또는 대주주가 대폭 할인을 하면서 블록딜로 주식물량을 매각한다면 투자자는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면 앞으로 회사의 호재가 많거나 이익이 커지는 회사이라면 당장 급전이 필요하지 않는 이상 주식을 최대한 보유할려고 할것입니다. 그런데 회사의 전망을 제일 잘 알고 있는 경영자 또는 대주주가 블록딜로 물량을 처분한다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엄청 악재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블록딜은 대체적으로 하락을 하게 되지만 그 이유와 사정에 따라서 빠르게 회복하는 경우들이 있다고 합니다. 앞서서 설명해드렸듯이 회사의 투자금이 없어서 블록딜로 회사투자금을 충당한다거나, 블로딜 인수자가 인수합병을 목표로 좋은흐름으로 이끌고 갈 경우들이 있습니다. 블록딜을 통한 주식을 소각하는 호재등 블록딜의 의도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즉. 본인이 투자한 회사나 투자하고 싶은 회사가 블록딜을 진행한다고 하면 블로딜을 왜 진행하는지에 대해서 공부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블록딜을 잘알고 있어야 확신을 가지고 대응 잘할수 있게 됩니다.

※ 블록딜 상승 사례를 알아보자

 

<씨티씨바이오>

2021년 7월 9일 한국 투자파트너스는 보유하고 있는 씨티씨바이오 주식 약 200만 주를 지난달 21일 블록딜을 통해서 처분을 하였다는 공시를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단 일반적인 블록딜과 다르게 당시 종가 8,150원보다 41% 높은 11,500원에 처분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3일 만에 블록딜 이상의 가격으로 거래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한투파가 대량 매도한 주식은 지분 10.35% 수준으로 특수 관계인의 지분 9.92%보다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적대적 M&A에 대해서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블록딜 하락 사례는 어떻게 되는 알아보자

 

<카카오뱅크>

2021년 8월 6일 상장한 카카오뱅크는 공모가 39,000원으로 시작해서 9만원 이상까지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지만 9월1 일 대규모 블록딜 이후 주가가 곤두박질치고 있다고 합니다.

 

우정사업본부가 카카오뱅크 지분 2.9%를 9.9% 할인된 가격으로 처분하였고 덕분에 2015년 9월 120억원을 출자 금액으로 1조원이 넘는 이득을 보았다고 합니다.

 

그이후 의무 보유 확약 물량도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기관의 물량이 쏟아져 나오고 일주일 만에 88,000원에 거래되던 주식은 64,600원대 까지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블록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