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실전 이용도가 높은 패턴을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실전패턴 접근은?
패턴이란? 주가의 일정한 흐름을 모양에 따라서 정형화시킨 것입니다. 주가가 멋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차트를 보면 일정한 흐름을 유지하면서 움직인다고 합니다. 물론, 항상 같은 것은 아니지만 비슷한 흐름을 보인느 경우들이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패턴 연구는 이런 통계에 따라 과거 주가가 움직였던 공통점을 찾아 미래를 예측하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합니다.
패턴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실전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것은 쌍바닥형, 삼중 바닥형, 상승 삼각형, N자형 상승, 원형 바닥형, 바닥 급등형, 눌림목형 등이 있다고 합니다.
▶ N 자형 상승 패턴 검색과 공략방법은 무엇일까?
N 자형 상승 패턴은 주가가 상승을 이어 가다가 조정받은 후 재상승하는 모양으로, 달리는 말에 올라타 때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추가 상승 여력이 있는 종목은 저항점이 돌파되는 순간 곧바로 매수에 응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N자로 조정을 받은 후 다시 반등할 때나 이전 고점을 넘어갈 때 매수하면 성공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 쌍바닥형 패턴 검색과 공략방법은 무엇일까?
실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패턴이라고 합니다. 바닥을 두번 주는 쌍바닥형 패턴은 주가가 급락한 후 일시적으로 반등하다가 다시 매물이 쏟아져, 한번 더 눌림을 받은 후 W자 형태로 상승하는 형태이라고 합니다.
이런 종목은 트레이더에게 대박을 안져준다고 합니다. 이론적으로 저항점을 돌파할때 매수해야 하지만, 확실성은 보장될지 몰라도, 고점 매수로 수익은 크지 않다고 합니다. 그래서 쌍바닥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2번째 상승할때 매수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합니다.
▶ 삼중 바닥형 패턴 검색과 공략법은 무엇일까?
삼중 바닥형도 쌍바닥형 다음으로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주가가 쌍바닥을 찍고, 장세에 따라 다시 한번 조정을 받은 후 상승한다고 합니다. 이때 주가는 바닥을 확인한 만큼, 하락보다는 상승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매수 타이밍은 삼중 바닥으로 만들어진 두 고점을 이은 선을 돌파할때 이라고 합니다.
▶ 상승 추세형 패턴 검색과 전략은 무엇일까?
상승 추세형 패턴은, 주기적으로 득이 될만한 호재가 있거나 실적이 좋아질 때 많이 발생하고 주가 상승을 기대할 만하다고 합니다. 꾸준한 상승으로 안정성이 확보되어 중, 단기 투자에 좋고, 데이트레이딩이나 스캘핑에도 적당하다고 합니다.
상승세를 이어 가다가, 일시적 조정받을 때 재상승을 확신하고, 과감히 매수하는 것이 요령이다고 합니다. 5일 선을 기점으로 반등하는 경우가 많이 있고, 지나친 상승으로 이격도가 벌어지면, 눌림을 기다리는 것이 현명하다고 합니다. 이때는 20일 선을 기점으로 반등할 때 공략한다고 합니다.
※ 드로잉 검색으로 맞춤 종목 찾는 방법은 무엇일까?
▶ 눌림목형 패턴 드로잉 검색과 전략은?
눌림목형 패턴은 기본 패턴에는 없지만, 실전에 유용한 패턴이라고 합니다. 확실한 눌리목 종목을 찾기 위해서는, 조건 검색이 이용도가 높지만 눌림목형 패턴 검색은 곧바로 매수에 접근할 수 있다는 편리성이 있다고 합니다. 매수 타이밍은 주가 상승 후 조정을 거쳐, 재상승을 시도할 때가 제일 적절하다고 합니다. 물론 이전 고점을 넘어설 때, 접근할 수도 있지만 고가 매수라 부담이 크다고 합니다.
HTS에서 검색된 종목들은 탄력적이지만, 주가가 많이 올라 저항점에 다와갈때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럴때는 드로잉 검색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종목을 검출할 수 있다고 합니다. 드로잉 검색은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을 마우스로 그려서 종목을 검색하는 것을 말합니다.
검색된 패턴에 수정을 해도 되지만, 확률 높은 패턴을 그대로 그려서 사용자가 원하는 종목을 찾아낸곳에 이용하면 좋다고 합니다.
▶ 원형 바닥형 패턴 드로잉 검색과 전략은?
원형 바닥형 패턴은? 주가가 바닥을 벗어나 치고 오르는 모양을 뜻합니다. 주가가 하락하다가 바닥에 도달하면 거래량이 줄면서 완만히 떨어지게 되고 바닥을 다지면 반등한다고 합니다. 이때 보통 떨어진 움직임과 비슷하게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매수 타이밍은, 상승세로 돌아서는 시점이나 눌림을 받는 시점이라고 합니다.
HTS의 원형 바닥형 패턴 검색이 탄력 있는 종목을 찾아주겠지만, 상승 초기를 잡아내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만약 바닥에서 탈출을 시작하는 종목이나, 상승 초지 종목을 찾아내고 싶다고 하면 직접 그려서 검색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손절매 설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매매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조지표 OBV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09 |
---|---|
거래량 분석 매매법은 어떻게 될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09 |
손절매 설정과 실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05 |
봉차트 참고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외선물개미왕 김성욱) (0) | 2022.05.05 |
봉차트 보는 방법과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