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포스팅 할 주제는 시장간 분석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장 간 분석은 무엇일까?
시장 간 분석은 기술적 분석의 한 부분으로 4가지 주요 자산군들 사이의 관계를 연구를 합니다. 주식,채권, 상품과 통화 입니다. 존 머피의 고전 시장 간 분석을 통해서 트레이딩에서 그는 차티스트는 이런 관계를 사용해서 경기순환의 단계를 확인하고 예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합니다. 주식과 채권, 채권과 상품 그리고, 상품과 달러 간에는 명확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이런 관계를 아는 것은 차팃스트에게 투자 사이클의 단계를 결정하고, 최고의 업종들을 선택해서 최악의 실적을 거둔 업종들을 피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이 사설의 내용 대부분은 존 머피의 저서와 Stock Charts 사이트에 있는 그의 글들에서 나온 것이라고 합니다.
※ 인플레이션 관계는?
시장 간 관계는 인플레션 또는 디플레이션의 힘에 좌우된다고 합니다. 정상적인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주식과 채권 가격은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둘 다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1970년대부터 1990년대 말까지 세계는 인플레이션 상황에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인플레이션 환경하에서 주요 시장 간 관계들이라고 합니다.
▶ 채권과 줏식 간의 양의 상관 관계
▶ 채권은 주식에 선행해서 방향 전환
▶ 채권과 상품 간의 역방향 관계
▶ US Dollar와 상품 간의 역방향 관계
POSITIVE : 하나가 상승하면, 다른 것도 상승합니다.
INVERSE : 하나가 상승할 때, 다른 것은 하락합니다.
※ S&P500 과 채권 간의 관계는?
인플레이션 환경에서는, 주식은 금리 하락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반응한다고 합니다. 저금리는 경제 활동을 촉진하고 기업의 이익을 끌어올린다 여기서, 인플레이션 환경이란 끝없이 치솟는 인플레션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됩니다. 단지 인플레션의 힘이 디플레이션의 힘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 디플레이션 관계는?
머피는 세계가 대략 1998년 인플레이션에서 디플레이션 환경으로 이동했다고 말합니다. 그것은 1997년 여름에 태국 바트화 붕괴로 시작되었으며 주변국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아시아 외환 위기로 알려지게 됐다고 합니다. 아시아의 중앙은행들은 그들의 통화를 지지하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했지만, 고금리는 그들 경제의 숨통을 막아서 다양한 문제들을 이야기 합니다. 이어지는 글로벌 디플레이션의 위협으로 자금은 주식에서 빠져나와 채권으로 흘러들어갔다고 합니다. 주식은 가파르게 하락하고, 채권은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미국 금리는 하락했습니다. 이것은 수년간 지속될 주식과 채권 간의 탈동조화, 독자적으로 움직임을 암시 합니다. 대형 디플레이션 사건들이 계속 일어났는데, 2000년의 나스닥 버블 붕괴, 2006년 주택 버블 붕괴, 또 2007년에 금융 위기가 강타했다고 합니다.
디플레이션 환경 기간에 시장 간 관계는 한 가지를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같다 주식과 채권은 디플레이션 환경 동안 역방향 관계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채권이 하락할 때 주식은 상승함을 의미하고 반대도 마찬가지 입니다. 더나아가, 이것은 주식이 금리와 양의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주식과 금리는 함께 상승합니다.
디플레이션은 모든 것을 다이내믹하게 바뀐다고 합니다. 디플레이션은 주식과 상품에게는 부정적이지만, 채권의 경우는 긍정적입니다. 채권 가격의 상승 및 금리 하락은 디플레이션 위협을 증가시키고 주식에 대한 하방 압력을 가한다고 합니다. 반대로, 채권 가격의 하락 및 금리 인상은 디플레이션 위협을 감소시키고 이것은 주식에서는 긍정적이라고 합니다. 아래 리스트는 디플레이션 환경에서 주요 시장 간 관계를 요약한 것이라고 합니다.
달러와 상품은?
달러와 통화 시장은 시장 간 분석의 일부이지만, 달러는 약간 와일드카드와 같습니다. 주식에 관한 한 달러 약세는 상품 가격의 상당한 인상을 동반하지 않는 한은 약세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분명히 상품이 크게 오르면 채권에 약세로 작용할 것이라고 합니다. 더 나아가, 달러 약세는 일반적으로 채권에는 부정적입니다. 달러 약세는 미국 수출의 경쟁력을 높임으로써 경제를 부양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이것은 해외판매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다국적 대기업에 이익이 된다고 합니다.
※ US Dollar 와 CRB 상품 지수와의 역방향 관계는?
달러 상승의 효과는 무엇인가? 한 나라의 통화는 그 나라의 경제와 국민대차대조표 를 반영한다고 합니다. 강한 경제와 강한 대차대조표를 가진 나라들은 통화가 강세입니다. 약한 경제와 많은 부채를 가진 나라들은 통화 약세의 영향을 받기 쉽다고 합니다. 달러 가치의 상승은 상품 가격에 대해 하방 압력을 가하는데, 석유처럼 많은 상품들이 달러로 가격이 메겨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채권은 상품 가격 하락으로 이익을 얻는데, 상품 가격 하락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주식도 상품 가격 하락으로 이익을 얻는데, 이것이 원자재 가격을 낮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시장 간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차트 관련정보(보는방법,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기 예보와 기술적 분석의 특징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07 |
---|---|
테크니컬 분석의 가치와 목표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07 |
차트 기술적 분석 10가지 법칙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07 |
추세지표 Parabolic SAR 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07 |
역머리어깨 반전 패턴에 대해 알아보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