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지표

[경제용어] 리디노미네이션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by 개미왕 김성욱 2022. 6. 24.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경제용어인 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은 무엇일까?

리디노미네이션은 우리나라말로 화폐단위 변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 나라에서 통요되는 화폐의 단위를 100분의 1, 1000분의 1등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0들을 떼어낸다는 의미입니다. 여러 화폐개혁 방식 중 하나이라고 합니다.

 

영어사전에서는 디노미네이션이라는 단어가 있다고 합니다. 이 단어의 뜻은 한 국가 내에서 통요되는 모든 화폐의 액면금액 그 자체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여기에는 채권이나 주식의 액면가도 모두 포함된다고 합니다. 즉, 디노미네이션은 화폐단위를 의미하는 용어이라고 합니다. 이 용어 앞에 다시라는 뜻의 접두어 Re- 가 붙은 단어가 바로 오늘 알아볼 주제인 리디노미네이션 입니다.  용어의 뜻을 제대로 모른다고 해도 대충 어감상 화폐단위를 다시 하는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단위 변경이라는 의미로 구매력이 다른 새로운 화폐단위를 만들어서 현재의 화폐단위와 일정한 교환비율로 교환하는 것을 뜻합니다.

 

 ※ 리디노미네이션을 요약하면?

 

1. 기존에 우리가 사용했던 "원" 단위 화폐 대신 새로운 "환" 단위의 화폐를 발행합니다.

2. 1,000원 = 1환 비율로 화폐를 교환 (=1,000대 1로 화폐단위를 낮춥니다.)

 

국가의 화폐단위를 변경하는 행위를 리디노미네이션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화폐의 이름을 변경하면서 화폐의 단위도 낮추게 된다고 합니다. 새로 바뀌는 화폐단위는 기존화폐보다 자릿수가 낮아진다는 의미입니다. 기껏 새로운 화폐를 도입하는데 1,000원을 100만원으로 바꾼다면 "0"이 더 많아져서 복잡해질껍니다. 화폐의 단위를 낮추는 이유는 리디노미네이션의 이유를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을 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1. 인플레이션이 지속되어 화폐의 구매력이 감소합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의 제일 대표적인 이유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폐의 구매력 감소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구매력이란 간단히 말해서 화폐가치를 뜻합니다. 과거 1990년대에는 1,000원 한장으로 자장면 1그릇을 먹을 수 있습니다. 30년이 지난 요즘에도 1,000원으로 자장면이 아닌 짜파게티 1봉지만 겨우 사먹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물가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화폐가치가 떨어져서, 같은 돈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힘이 감소된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처럼 화폐의 구매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한다고 하면, 언젠가 자장면 한그릇이 100만원이 되는 날이 올 수도 있습니다. 그런 상황이 온다고 하면 간단한 물건 하나 사는데도 화폐로 표현하는 숫자가 많아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계산할 때나 회계장부 작성시 상당히 불편해질 꺼라고 합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리디노미네이션을 시행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리디노미네이션을 시행하게 됩니다.

특히 극단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하이퍼인플레이션 발생시에 리디노미네이션을 통해 물가안정을 도모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2000년대에 이르러 급격한 물가상승이 발생했던 짐바브웨는 수차례에 걸쳐서 리디노미네이션을 실시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 짐바브웨의 리디노미네이션 사례는?

 

1. 1차 화폐개혁(2006년8월) : 1,000ZWD -> 1ZWN 으로 리디노미네이션

2. 2차 화폐개혁(2006년8월) : 100억ZWN -> 1ZWR 으로 리디노미네이션

3. 3차 화폐 개혁(2009년2월) : 1조 ZWR -> 1ZWL 으로 리디노미네이션

 

짐바브웨가 이렇게 많이 리디노미네이션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화폐의 구매력이 엄청 빠른 속도로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작년의 자장면 한그릇 값이 5,000원이였는데, 올해 자장면 한그릇 값이 5,000원조원으로 오른 셈이라고 합니다. 자장면 한그릇 먹자고 리어카에 돈다발을 가득 담아서 거래를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해버리니, 결국 돈이 제 구실을 못하게 된다고 합니다.

※ 화폐단위를 10진법으로 변경은?

 

화폐 단위가 엄청 복잡한 경우에도 리디노미네이션을 실시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과거 영국은 오랫동안 파운드, 실링, 기니, 크라운 등의 여러가지 화폐 단위를 같이 사용했다고 합니다.

 

※ 영국의 리디노미네이션 이전 화폐단위(1971년 이전)

 

★ 1파운드 = 4크라운

★ 1크라운 = 5실링

★ 1실링 = 12펜스

★ 1기니 = 21실링

화폐 단위가 너무 많을 뿐더러 10진법으로 딱 떨어지지 않고 4진법, 5진법, 12진법, 심지어 21진법까지 혼용하다보니 당시 국민들은 돈을 계산하기가 엄청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영국은 1971년에 화폐개혁을 단행해서 위와 같이 복잡한 화폐단위를 모두 없애고, 파운드와 펜스 단위만을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복잡한 진법들도 모두 없애고 10진법으로만 화폐단위를 표기하도록 했습니다.

 

※ 영국의 리디노미네이션 이후 화폐단위는?

★ 1파운드 = 100펜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