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트 관련정보(보는방법, 종류)

호가창 한번 읽어보자(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by 개미왕 김성욱 2022. 8. 31.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오늘 포스팅 해볼것은 호가창 정의에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호가창이 무엇인가?

개장 초에는 호가 창을 살펴서 깔리는 주문량이 너무 소량이거나

호가창을 건너뛰면은 조심하시는 게  좋습니다

매도 주문이든 매수 주문이든 소량이 깔리게 되면은 순식간에

분봉으로 급격한 변화가 생기면서 운신의 폭이 좁아 나오든 매수하든 힘들어지기 쉬워집니다.

 

특히나 개장 직전에 하락 쪽에 주문이 많아 체결가의 하락폭이 개장

직전에 전일 대비 하락 폭을 줄이면서 시작가를 점점

들어 올리는 것도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집니다.

 

또한 반대 현상으로 개장 전에 급등할 것처럼 빨간색으로 시작가를

너무 올리는 것도 개장 직전이 되면 낮아지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특히 주의할 점은 건너뛰는 공간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듯 개장 전이나 개장 직후 호가창을 살피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하락을 방지하는 받침 주문이 일시에 빠지거나 밀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집중 주문량이 받침목으로  깔려 있다고 해서 방심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거래량이 적다고 해서 세력이 쉽게 들어 올려 날아가는 것은 아닙니다

거래량이 너무 없으면 세력도 빠져나오기 어려워서 섣불리 들지 않을 것입니다.

 

호가창 읽는 방법

 

시장 참가자는 크게 장을 움직이는 메이저와 힘없는 개미들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같은 시장에서 같은 조건으로 싸우는 것 같지만 소총과 포와 싸우는 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당신이 실탄도 많고, 정보도 많은 메이저의 입장이라면 매수 진입을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그들의 입장에서는 역지사지라 생각해 보시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자~~ 장은 오를 것이라고 예상되고 매수를 해야 할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우선 지금 장이 오르는 추세에 있을 때에는 조금이라도

빨리 잡아야 유리하게 잡을 수 가있습니다.

시장가로 추격 매수할 것입니다.

이경우에는 여러 메이저가 동시에 참가하게 된다면 말 그대로 뒤

밀림 없이 스트레이트로 장대 양봉을  만들게 됩니다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실전상 세틱을 매도에 단 한번도 호가를 밀리지 않으면서 세틱을

그대로 몇 초 안에 밀어 올리는 경우가 이경우입니다.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면 긴 시간 길게 가게 될 것입니다.

다만 이런 흐름에서는 간 작은 개미들은 초기에 동참이 쉽지가 않습니다.

기계적으로 숙달이 안된다면

대부분 상승이 일단락이 되어서 주춤거릴 때 눌림이라

잘못 판단하고 들어가서 뒤통수 맞기가 쉽습니다.

이번에는 내리거나 횡보를 보이는 상황에서는 매수를 해야 될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급하게 살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 쥐가 황소를 잡아먹는 호가 흐름입니다.

특히나 하락 흐름일 경우에는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예시를 들면 현재가 255.00이고 매도 잔량이 쌓여있는 상황이라면 사

는 사람은 254.95에서 소량의 매수 잔량만 놓고

받아먹게 됩니다/그러다가 매도잔량이 254.95 애 쌓이게 된다면

이를 한 번에  잡아먹으면서 또 소량만 잔량으로 쌓아 놓게 됩니다.

 

겉으로 보면은 항상 매도잔량 쪽이 수량이 많으면서 매수잔량의 최상위

수량이 적으므로 밑으로 갈 것으로 보이게 되지만

지나 보면은 거의 위로 가게 됩니다.

이런 현상의 흐름 뒤에는 상승은 하게 되지만 앞의 경우와 달리 여러 메이저

동참이 아닌 각개 집단의 참여로 생각보다 길게 가지 않습니다.

다만 개인들의 경우에는 진입할 시간도 많으면서 시장가 진입이 아닌

대기하다가 잡을 수가 있어 부담이 적게 듭니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에는 스켈퍼에게 유용한 타임입니다.

호가창은 집중적으로 계속 오래 볼 수는 없겠지만 제일 정확한 정보를

무시해서는 안되므로 특히나 진입 타임을 잡을 때는 반드시 봐야 됩니다.

또한 메이저들은 대부분 그날 현물이나 선물 등의 운용 방침을 가지고 하루를 시작하게 됩니다.

현물은 어느 정도 사거나 팔고 파새은 헷지를 할 것인가  적극적으로 운용을 할지를...

 펀드매니저나 메이저들은 잔머리로 매매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메이저 시간의 흐름이나 오전장 흐름을 읽을 줄 알아야 됩니다.

 

호가창 보는 기법이란?
주식투자에는 정법이 없습니다. 왜냐하면은 심리 싸움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각자의 생각에 따라서 매매하기 때문에 고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 손해를 보지 않고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그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지금 어디에 있느냐?를 살피지 않으면 백발백중 실패하기 때문입니다.

간혹 운 많게 수익을 거두었다고 해도 얼마  안 가서 다시 손실을 입는 것이 증권 시장의 생리입니다.

무엇보다는 지금 사람들의 마음이 어디에 있으며 그 마음에 변화가

어떻게 변화를 예측하는 것만이 승리하는 것입니다.

현재가 창과 호가창

수요가 많으면 공급이 딸리게 되므로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수요가 작으면 공급이 남아나므로 가격이 떨어지게 된다는 아주 기초적인 내용이다.

현재가 창이나 호가창의 역할이 그런 진열대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사는 사람의 입장에선 사게 사려고 매수는 아래에다 잔뜩 걸어놓고 파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바 써 개 팔려고 위에다 잔뜩 걸어놓습니다. 그런데 이것 은 함정입니다.

 

매수가 잔뜩 아래에 걸려 있게 된다면 이건 매수세가 아닌데, 매수 합계가 많이 걸려 있으며

매수세로 착각하게 되어 주가가 떨어지건 오르건 매수합니다.

이것이 세력의 의도대로 진행이 되는 시나리오에 걸려든 것입니다.

활발에 가 움직이는 놈들을 살펴보면은 매수세와 매도세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챌 수 가있습니다.

데이트레이더의 방식과 스캘퍼들은 매매방식을 분석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들의 매매타이밍을 현재가 창이나 호가창의 변화로 대응하면서 수익을 

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만큼 신뢰도가 크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내가 다양한 물건을 살려고 한다면 팔 물건의 종류와 수량이 많아야 고를 수가 있습니다.

매도량이 합계가 잔뜩 샇여 있다는 것은 매도세가 강한 것이 아니라,

매수세가 강한 사실을 인식해야만 단기적으로 매수 급소를 찾아낼 수가 있습니다.

물론, 차트와 동시에 확인하면서 매매해야 그 확률이 더욱 높아지게 됩니다.

매수량의  합계가 훨씬 많이 있다면 이것은 매수세가 강한 것이 아니라,

강한 매도세를 연출하는 것입니다.

단기적으로 상향이 아니므로

매수할 날, 매도할 날 당일에 이것을 이용하여도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습니다.

이해가 되셨습니까? 이제는 그냥 내 것으로 만들어야 됩니다

길을 걸으면서 내감각이 될 때까지 반복을 합니다.

매수수량이 많으면 강한 매도세이고, 강한 매도수량이 많이 걸려있으면 강한 매수세 다라는 것을.... 이것만을 명심하게 된다면 단기로 대응하던 중기로 대응하던 최적의 매매 타이밍을 잡을 수가 있습니다.

매매조건은 일단 매매가 활발해야 하고, 꾸준하게 매수수량 과매도

수량이 유입되면서 포지션의 변화가 생긴다는 전제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적용하였다고 해서 절대 백 프로는 없습니다.

 

아주 고약한 세력을 만나면 이것을 이용을 하기도 합니다.

그런 종목에 들어가면 손절이나, 수익을 내지 못하고 손실만 나오게 됩니다.

확률이 높은 매매이기 때문에 절대 맹신을 해서도 안 되겠지만,

그래도 십중팔구는 이 내용을 지켜가고 있으므로 매우 높은 확률로 매매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수익을 실현하고자  할 때나, 손실 종목을 팔고자 할 때도

호가창을 차트를 같이 보면서 매매에 임한다면 나름대로 요긴하게 써먹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이번에 알아본 포스팅 주제는 호가창의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 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 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