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선물 기본

버터플라이가 뭐지??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by 개미왕 김성욱 2022. 4. 19.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버터플라이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버터플라이 롱 전략을 구사하는 트레이더는 낮은 행사가의 콜 1계약을 매수하고, 중간 행사가의 콜 2계약을 매도하며 높은 행사가의 콜 1계약을 매수한다고 합니다. 3개의 행사가는 등간격을 갖는다고 합니다. 이 옵션들의 만기는 똑같고 기초 자산 또한 똑같다고 합니다.

※ 버터플라이 거래는 무엇일까?

 

트레이더들은 시장의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고 변동성이 축소될것으로 예상할 때 버터플라이를 매수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이런 질문들이 나올 수 있을꺼 입니다. 시장 변동성이 축소될것으로 예상한다고 하면 차라리 2420스트래들을 매도하는것이 괜찮지 않냐라는 질문입니다. 스트래들 매도는 시장이 특정구간에서 정체현상을 보일때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스트래들의 잠재손실은 무한대이라고 합니다. 이점이 트레이더에게는 상당한 비용 부담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버터플라이의 날개가 스트래들의 무한대 리스크로 부터 트레이더를 보호한다고 합니다. 버터플라이 매수는 판단이 틀릴 경우이라고 해도 버터플라이 비용으로만 리스크를 제한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만약에 우리가 2420 콜과 풋을 매도를 해서 스트래들 매도 포시녕을 취했다고 하면 매수자로부터 총 105의 프리미엄을 받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장이 만기 시 2420으로 끝난다면 최대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은 105가 된다고 합니다.

 

버터플라이 매수 포지션을 구축할때 비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 2395 콜 1계약매수 @69.75에 매수

2. 2420 콜 2계약 매도 @53.25

3. 2445 콜 1계약 매수 @38.50

4. 총비용 1.75

버터플라이 매수를 통해서 최대 수익을 계산해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2395옵션이 내가격으로 만기되며 25포인트 수익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매도한 2420콜은 가치없이 만기되며 매수한 2445 콜도 가치없이 만기되어 버린다고 합니다. 버터플라이 매수 비용인 1.75를 제외한 23.25가 수익이 된다고 합니다.

 

스트래들과 버터플라이의 손익분기점을 비교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손익분기점이란 각 전략별로 청산 가치가 프리미엄과 일치하게 되는 지점을 말한다고 합니다.

 

※ 버터플라이와 스트래들 비교는 어떻게?

스트래들의 경우, 손익분기점은 행사가 +/-프리미엄이라고 합니다. 버터플라이의 경우, 손익분기점은 (낮은 행사가 + 지불한 프리미엄) 또 ( 높은 행사가 - 지불한 프리미엄)이라고 합니다.

 

※ 시간 가치의 소멸은 어떻게 될까?

 

버터플라이의 시간가치 소멸은 현재 시장 수준이 어디냐에 따라서 크게 좌우된다고 합니다. 매도한 행사가 근처라면 시간가치 소멸은 나의편이라고합니다. 날개쪽 행사가 근처라고하면 시간가치 소멸은 나의 적이라고 합니다.

  스트래들 매도 버터플라이 매수
최대 손실 무한대 버터플라이 비용
원가 수취액 105 지불액 1.75
최대이익 105 23.25
  2525 2445
손익분기점 (하방) 2313 2443.25

저희가 알아본 예를 보시면 스트래들의 손익분기점 범위가 버터플라이보다 엄청 큰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범위가 버터플라이보다 크긴 하지만 시장이 이 범위에 들지 않을 경우 잠재적 손실은 큰 규모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버터플라이 전략은 시장이 만기 시 일정 범위에 머무는 경우 예상된 수익 기회를 제공해서 시장이 예상과 다르게 움직일 경우에도 날개 부분이 손실을 제한해 준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버터 플라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