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엘리언트 파동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엘리어트 파동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려는 이유는
엘리어트 파동은 접근방식이 엄청 독특해서 이런 접근방식을 알아 두면 좋을꺼
같다고 생각해서 이번 포스팅 주제는 정했습니다.
파동이론의 창시자는 누구일까?
파동이론을 이야기 하기전에 이 이론의 창시자인 R.L 엘리어트에 대해서 잠깐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1871년 미국에서 태어난 그는 젊은 시절부터 전신 오퍼레이터, 속기사, 배차원, 레스토랑의 회계담당 등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그는 특히 회계업무에 탁월한 업무능력을 보여고, 그의 회계능력을 인정한 미국 국무부는 그를 니카라과 재정문제를 담당하는 회계사로 임명했다고 합니다.
엘리어트는 1927년에 이질에 걸려 다니던 회사를 조기퇴사하고 약 5년간 병상에서 지내게 되었습니다. 이 때부터 주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50대 중반이 되서 주식을 처음 접했습니다. 그는 주식시장의 움직임에 특정한 패턴인 있다고 생각을 하였고 투병생활을 했던 5년 동안의 연구 끝에 파동이론을 완성 시켰다고 합니다.
그는 자신이 구독했던 증권사 일간지에 자신의 이론을 기고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는 기고문에서 조만간 주식시장에 대폭락이 찾아올것 이라고 예측을 하였는데, 신기하게도 1937년 주식시장이 고점 대비 50% 수준의 대폭락을 겪으면서 그의 예측이 정확히 맞아 떨어졌다고 합니다. 그는 1937년 증시대폭락 이후에도 파동이론을 지속적으로 주식시장을 예측했고, 대부분 적중했다고 합니다.
파동이론의 핵심철학은 무엇인가?
▶ 자연의 법칙 ◀
모든 우주 만물은 자연의 법칙에 의해서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움직이고, 이는 자연의 일부분인 인간에게도 적용이 됩니다. 즉 인간의 행동이나 심리는 자연의 법칙에 따라서 일정한 파동 형태로 반복되고, 이런 패턴을 계량화 할 수 있다면 미래의 인간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연의 법칙은 항상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가 뜨고 지는 것과 빛을 통해서 사물을 볼 수 있는 것도,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죽는 것도 모두 자연의 법칙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려면 인간의 심리도 자연의 법칙으로 규명을 할 수 있을까?
모든 사람들은 각자만의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전세계 70억 인구를 하나하나 비교 해도 똑같은 사람은 없을 겁니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은 특정한 연예인을 유독 좋아하고, 특정한 부분에서 비슷한 감정을 느끼고 특정한 아이템에 열광을 합니다. 엘리어트는 인간의 이런 집단심리 역시 자연의 법칙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인간 또한 자연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자연의 법칙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그는 인간이 모든 행위 속에 자연의 법칙이 있을 꺼라고 생각했습니다.
파동이론의 핵심은 무엇일까?
1. 파동의 기본구조는 어떻게 될까?
파동이론을 접한 투자자분들이면 아래의 그림을 한번쯤 본적있을꺼라고 생각이 듭니다.
엘리어트 파동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상승5파 - 하강3파 총 8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앞서 언급했던 피보나치 숫자(3, 5, 8)를 여기에서 관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상승시장에서 상승하는 파동을 충격파라고 부르며, 상승시장에서 하강하는 파동은 교정파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반면에 하강시장에서는 하강하는 파동을 충격파, 상승하는 파동을 교정파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용어가 헷갈릴 수 있어서 밑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 파동의 방향에 따른 용어는 무엇인가?
▶ 시장의 진행방향과 똑같은 뱡향의 파동은 충격파 입니다.
▶ 시장의 진행뱡향과 반대 뱡향 또는 정체하는 파동은 교정파 입니다.
엘리언트는 주식차트의 변동이 위와 같은 패턴을 끊임없이 반복을 하고 이뤄진다고 보고있습니다. 또 각각의 파동은 다시 위 그림처럼 하위파동의 사이클로 이뤄진다는 것을 확인을 합니다.
상승시장에서 충격파인 1파, 3파, 5파는 작은 파동으로 구성이 된다고 합니다. 반면 상승시장의 교정파에 해당되는 2파와 4파는 3개의 하위파동으로 구성이된다고 합니다.
하강시장에서도 똑같은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강시장의 충격파인 A파와 C파는 5개의 하위파동으로 구성이된다고 합니다. 반면에 교정파에 해당되는 B파는 3개의 하위파동으로 구성이된다고 합니다.
2. 파동의 사이클은 무엇인가?
각각의 하위파동들은 다시 더 작은 파동의 사이클로 이뤄진다고 합니다. 엘리어트는 이런 파동의 사이클이 작게는 몇분 ~ 몇시간에서 크게는 수십년 간의 차트에서도 모두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을 했다고 합니다. 그의 논문에서는 파동의 사이클을 총 9단계로 구분하였고, 주기에 따른 사이클의 명칭을 밑에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 엘리어트가 이름붙인 사이클의 명칭과 주기는 어떻게 될까?
▶ 그랜드 슈퍼사이클은 100년 이상의 주기입니다.
▶ 슈펴사이클은 100년 이하의 주기입니다.
▶ 사이클은 약 30년의 주기입니다.
▶ 프라이머리는 약 10년의 주기입니다.
▶ 인터미디어트는 월간입니다.
▶ 마이너는 주간 입니다.
▶ 마이뉴트는 일간입니다.
▶ 미뉴에트는 시간입니다.
▶ 서브미뉴에트는 시간 이하입니다.
또 엘리어트의 파동은 프랙탈( 작은구조가 전체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끝없이 되풀이 되는 구조입니다) 이론적으로 위에 열거된 주기들보다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생겨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위에 언급한 사이클별 주기 역시 절대적인 값은 아니라는 점도 참고 해야됩니다.
3. 교정파의 형태는 어떻게 될까?
엘리어트는 충격파보다 교정파를 관찰하는 것이 더 어렵고 교정파를 잘 파악하는 것이 엄청 중요하다고 강조를 했다고 합니다. 엘리어트는 교정파의 형태를 크게 3가지로 나누었고, 이3가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불규칙한 형태이라고 따로 정의 했다고 합니다.
※ 엘리어트가 정리한 교정파의 형태는 어떨까?
▶ 지그재그형
▶ 플랫형
▶ 삼각형형
▶ 불규칙형
각각의 형태는 아래 그림과 동일한 모양 입니다.
모든 교정파가 단순히 그림과 같은 형태로만 표현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삼각형의 경우에도 상단플랫 하단상승, 상단하강 하단플랫 등 세부적으로는 더 나누어져 있다고 합니다. 또 일반적인 교정파가 3개의 파동으로 이뤄진 반면, 삼각형의 경우에는 5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3가지 형태에 포함되지 않는 교정파는 모두 불규칙형으로 분류했다고 합니다.
4. 연장파는 무엇일까?
연장파는 충격파에서만 관측된느 파동이고, 교정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앞서 충격파는 5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졌다고 언급을 했습니다. 그런데 충격파에 연장파 형태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5개의 이상의 파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충격파의 마지막 5파가 하나의 파동이 아닌 5개의 하위파동으로 나누어져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에 5파가 다시 5개의 하위파로 나누어지면 연장파로 인해서 총 13개의 충격파가 생긴다고합니다. 엘리어트 파동은 반복적인 프랙탈 구조를 보이기 때문에 연장파 역시 이론적으로는 무한정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 차트에서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가 바로 이 연장파와 교정파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파동이론의 한계점은 어떻게 될까?
이론 발표 당시 상당한 정확도로 주목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엘리어트 파동이론이 차트분석에서 잘 이용되고 있지 않다고 합니다. 그이유는 아래에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파동이론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1. 자의적 해석이 많이 개입이 되어서 파동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어렵습니다.
2. 경우의 수가 너무 많이 있습니다.
3. 돌발변수가 많은 경우에는 파동이론을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4. 정확하고 일관된 가격 데이터가 없으면 분석이 어렵습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엘리어트 파동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매매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선물 체결강도는 무엇일까?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17 |
---|---|
VIX지수 뜻과 특성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17 |
피벗 라인, 그물차트 보조지표에 대해서 알아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12 |
DMI 와 ADX 보조지표/ CO보조지표에 대해 알아볼까?(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12 |
스캘핑할때 사용되는 지표들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