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EPS(주당순수익) 과 PER(주가수익비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PS란 무엇인가?
BPS는 주당순자산비율입니다. 즉 기업의 현재 순자산을 주식수로 나눈 개념이라고 합니다. EPS도 이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기업의 순자산이 아니라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다는 차이점이 있다고 합니다.
EPS = (기업의 당기순이익) ÷ (총 발행주식수)
여기에서 당기순이익이란? 기업이 일정기간동안 얻은 모든 수익에서 지출한 모든 비용을 공제하고 순수하게 남은 이익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즉 기업이 한해동안 순수하게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라고 합니다.
이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다고 하면, 기업이 1년동안 1주당 얼마의 이익을 벌었는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고 합니다.
A기업은 올해 2억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A기억이 10,000주의 주식을 발행했었다고 하면, 이 기업의 EPS는 아래와 같이 계산될 것이라고 합니다.
A기업의 EPS = 2억원 ÷ 10,000주 = 20,000원
즉, A기업이 1년동안 벌어들인 수익은 1주당 2만원이 된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BPS보다는 EPS를 더 중요한 투자지표로 사용한다고 하비다. BPS는 기업의 이익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EPS는 기업의 이익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지표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회사은 자산이 많다고 그것이 주주들에게 돌아가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회사가 올해 많은 이익을 냈다면, 그 회사에 투자한 주주들에게 이익을 분배해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그러면 단지 EPS가 높은 기업을 찾아서 투자하면 될까? 또 그렇지는 않다고 합니다. 단순히 EPS만으로는 기업의 투자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이 회상의 현재주가와 EPS간의 차이를 비교해봐야 현재 주가가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 확인할수 있다고 합니다. 이 지표가 바로 아래 설명드릴 PER 이라고 합니다.
PER은 무엇일까?
PER = (현재 주가) ÷ (현재 EPS)
PER이란? 기업의 현재 주가와 EPS와의 비율을 나타낸 값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작다는 것은 기업이 내는 순이익에 비해서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뜻이고, 반대로 PER이 크다는 것은 고평가되었다는 것이라이고 합니다. 그러므로 고 PER 종목은 주가가 과열상태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아까 A기억의 EPS는 2만원이였습니다. 만약에 이 기업의 현재 주가가 20만원이라고 하면 PER은 아래와 같이 계산을 합니다.
A기업의 PER = 200,000원 ÷ 20,000원 = 10(배)
현재 주가가 EPS에 비해 10배나 고평가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기업들은 PER이 10이 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주가가 순이익으로만 졀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심지어 PER은 PBR과 다르게 음수가 나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 만약에 회사가 적자를 기록했다고 하면 분자가 마이너스가 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벤처기업 등 미래를 보고 투자하는 기업들은 PER이 마이너스인 경우도 종종 볼수 있다고 합니다.
PER만 보고 투자여부를 판단을 하면 안된다.
PER이 낮으면 현재 기업이 저평가된 상태라고 말을 드렸습니다. 그렇다고 PER 만 보고 투자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고 합니다. 이 지표 안에 모든 기업정보가 들어있는 건 아니라고 합니다. 저 PER들은 다음과 똑같은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 현재 이익은 높지만 미래 발전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현재 높은 순이익을 내고 있지만, 앞으로는 발전가능성이 어둡거나 내부적으로 문제가 있는 기업이 이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미래가 어둡다는것이 확실하다고 하면 사람들은 너도 나도 주식을 매도할 것이고, 주가는 곤두박질 칠것이라고 합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PER은 낮아지게 되고, 이는 다시 기업의 주가가 저평가되었다는 왜곡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고 합니다.
▶ 시장 소외주는?
대부분의 저평가주는 시장에서 외면받고 있는 소외주들이라고 합니다. 즉 수급이 존재하지 않으니 주가변동도 상대적 적을 수밖에 없닥 ㅗ합니다. 이는 단점임과 동시에 장점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저평가 우량주들을 발굴해서 장기투자자를 하는 스타일이라면, 이런 시장소외주를 찾아 투자하면서 비교적 낮은 리스크로 수익을 올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시장소외주는 거래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생각하는 방향으로 주가가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저 PER주라고 샀는데 이유없이 주가가 더 떨어질 수도 있는 것이죠. 그래서 중단기 투자자에게는 투자자로서의 메리트가 별로 없는 셈이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포스팅 주제인 BPS 와 PBR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해외선물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셀 2000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08 |
---|---|
서킷 브레이커 사이드카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08 |
일드갭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06 |
레포거래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20 |
섹터 선물의 내재 유동성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