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코스트에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스트에버리지는 무엇인가?
코스트에버리지는 말 그대로 투자 비용을 평균화 하는 투자 기법이라고 합니다.
다른말로 정액분할투자법 또는 평균매입단가인하라고 부릅니다.
코스트에버리지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어떠한 투자 상품을 장기간 분할해서 매수해야 됩니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매입 평균 단가가 낮춰지고 더욱 큰 수익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코스트 에버리징을 실천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1. 투자할 상품을 매매할 때 한 번에 모두 자금을 투자하지 말고, 몇 번에 걸쳐서 분할매수하는 방법?
이는 종갓돈을 모으고 난 후 새로운 상품에 투자를 할 때 사용해야 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주식을 매수할 때 이런 방법을 사용을 한다고 합니다.
주식을 매매할 때 한 번에 매수하지 않고 며칠 동안 몇 번에 나눠서 산다고 합니다.
그이유는 앞으로의 주식의 가격은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몇번에 나누어서 주식을 매수해서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춘다고 합니다.
2. 자신이 투자하는 상품에 매월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방법?
이는 종갓돈을 모으지 않았을 때 투자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적립식 펀드가 있다고 합니다.
적립식 펀드를 살 때는 펀드가 내리든 오르든 한 달에 한번 일정한 금액을 넣어준다고 합니다.
또 만약에 장기적으로 오를 펀드라고 하면 코스트에버리지 효과를 사용해서 펀드의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어서 더욱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합니다.
코스트에버리징이 좋은 이유는?
예시) 저의 월급이 100만원이라고 예를 들었을때, 1주에 10만원 짜리 주식을 사고싶다고 할때
1월 이 주식의 가격은 10만원이고 10주를 샀다고 합니다.
2월 이 주식의 가격은 5만원이 되었고 20주를 샀다고 합니다.
3월 이 주식의 가격은 15만원이 되었고 6주를 샀다고 합니다.
4월 이 주식의 가격은 다시 10만원이 되었고 10주를 샀다고 합니다.
그때 제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46주가 된다고 합니다.
가격이 내렸다가 올랐다가 원래대로 됬습니다.
이게 바로 코스트에버리지 효과라고 합니다.
코스트에버리징을 사용할때 주의해야 하는점은 무엇일까?
1.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코스트에버리지는 상품의 가격이 높아졌을 때 낮아졌을 때를 번갈아 사주어야 효과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또 이런 효과는 매매 횟수가 많아질수록 매매단가가 평균으로 수렴할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단기투자에서는 코스트에버리지 효과를 보기 힘들다고 합니다.
일부 전문가는 코스트에버리징 효과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3년 이상의 장기적으로 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을 합니다.
2. 투자하는 상품이 계속 하락하는 상품이라면 의미를 잃는다고 합니다.
투자를 하면 어째든 상품의 가격이 올라야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만약에 계속 하락하는 상품이라면 코스트에버리지 효과를 사용해서 투자하든 말든 상관없이 손해를 보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코스트에버리지 효과를 사용하기 전에 좋은 투자상품인지를 우선으로 확인을 해야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코스트에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매매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량에 대한 투자전략(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8.11 |
---|---|
거래량으로 진입 타이밍 잡기!(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8.10 |
이격도 지표에 대해서 알아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27 |
그랜빌의 법칙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27 |
다우이론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