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매기법

그랜빌의 법칙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by 개미왕 김성욱 2022. 5. 27.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그랜빌의 법칙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랜빌의 법칙은 무엇인가?

그랜빌은 이동평균선의 개념을 최초로 도입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그는 주가를 관성의 법칙과 회귀 현상을 사용해서 매수 신호 4가지와 매도 신호 4가지를 고안했다고 합니다. 그는 다양한 이동평균선 중 200일 이동평균선을 제일 신뢰할 수 있다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이동평균선을 이용해서 그랜빌의 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보통 단기 투자의 경우에는 5일 / 20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하고, 중기 투자의 경우에는 60일 / 120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 그랜빌의 매수 신호 4가지는 무엇일까?

1. 매수신호는?

이동평균선이 하락이나 보합 상황에서 주가가 평균선을 상향 돌파항 시에는

(거래량이 수반될수록 강한 신호입니다.)

 

2. 매수신호는?

이동평균선이 상승할 때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할 때

(일시적인 하락의 마무리로 해석을 한다고 합니다.)

 

3. 매수신호는?

이동평균선이 향해 하락하던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로 상승 할때

(이동평균선이 하락을 막는 지지 역할이라고 합니다.)

 

4. 매수신호는?

이동평균선이 상승할 때 주가가 이동평균선에 접근할 때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 회귀할려는 성향을 가진다고 합니다.)

※ 그랜빌의 매도 신호4 가지는 무엇일까?

1. 매도신호는?

상승하던 이동평균선이 옆으로 횡보하거나 하락 추세에서 주가가 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뚫고 하락시에

(평균선의 횡보, 하락은 주가의 약세를 의미하고 하향 돌파는 본격적인 약세장의 시작을 뜻한다고 합니다.)

 

2. 매도신호는?

이동평균선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데 주가는 평균선 밑에서 위로 뚫고 상승시에는

(평균선 상향 돌파는 단기 반등이 마무리 단계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3. 매도신호는?

이동평균선을 향해 밑에서 위로 올라오다가 평균선 돌파를 하지 못하고 다시 하락시에

(평균선이 주가 상승을 막는 지지선 역할을 해준다고 합니다.)

 

4. 매도신호는?

주가가 상승 중인 이동평균선을 크게 넘어 급등하다가 하락할 기미가 보일때

(이격도 과도하게 증가하면 주가는 회귀할려는 성향을 가진다고 합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은?

 

엘리엇은 주식시장의 움직임과 투자자의 심리는 패턴,비율, 시간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이되어있고, 이 모든 것이 피보나치수열과 일치한다는 이론을 고안했다고 합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의 핵심은, 주가는 상승 5파와 하락3파에 의해서 끊임없이 순환한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 8개의 파동으로 추세를 파악하고 목표가를 설정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 상승 5파는 무엇일까?

엘릿 파동의 상승 5파는 우상향 하는 1,3,5번의 충격 파동과 2,4번의 조정 파동으로 구성이된다고 합니다.

 

1. 상승 1파는?

제일 짧은 파동으로 장기 하락 추세 이후에 나타나기 때문에 단순한 Dead cat Bounce인지, 새로운 상승 1파의 시작인지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다른 보조지표를 이용해서 상승 반전의 시그널이 같이 확인되면 더욱 좋다고 합니다.

 

2. 상승 2파는?

조정 파동으로 일반적으로 상승 1파의 38.2% 또는 61.8% 비율로 발생하는데, 99,9%까지 발생해도 유효한 것으로 본다고 합니다. 그런데 상승 1파의 시작점 아래까지 조정받게 되고 엘리엇 파동이 아니라고 합니다. 상승 2파는 상승 1파를 확인 후 매수하는 타이밍이라고 합니다. 상승 3파의 경우 강력하게 급등하는 경우가 많아서 매수가 어렵다고 합니다.

3. 상승 3파는?

상승하는 5개의 파동 중 제일 긴 파동이 나온다고 합니다. 상승 5파가 더 길더라도 엘리엇 파동으로 본다고 합니다. 보통 상승 3파의 목표가는 상승 1파의 고점과 저점을 중심으로 1,618배로 설정을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강력한 상승세를 보일 시 2,618배까지 상승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상승 3파는 상승 5파보다 짧을 수 있다고 하지만, 상승 1파보다는 확실히 길어야 한다고 합니다.

 

4. 상승 4파는?

일반적으로 상승 3파의 23.6% ~ 38.2% 정도의 조정을 보인다고 합니다. 상승 1파의 고점을 깨고 하락하면 상승 4파는 무효로 본다고 합니다. 상승 2파와 마찬가지로 매수 타이밍이지만, 상승 2파에서 매수하는 것보다 손절매 지점이 낮아 위험성이 있다고 합니다.

 

5. 상승 5파는?

충격 파동 3개 중 제일 많은 거래량이 나타나면서 상승을 마무리하는 단계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상승 1파의 파동 길이가 같거나, 상승 1파의 0.618배, 상승 1파와 상승 2파의 길이의 0.618배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상승 5파는 상승 4파의 조정이 짧을수록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상승 5파 이후에는 하락 1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서 매도 타이밍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합니다.

※ 하락 3파는 무엇일까?

 

1. 하락 1파는?

조정 파동으로 상승 5파의 연장에서 나올 수 있고,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2. 하락 2파는?

하락 2파는 하락 1파의 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한다고 합니다. 강하게 하락 시 기술적 반등인 하락 2파가 나오기 때문에 고점에서 정리하지 못했다고 하면 이 구각이 매도 시점이라고 합니다.

 

3. 하락 3파는?

제일 큰 폭의 하락이 나오는 구간으로 투매가 나올 수 있는 구간이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그랜빌의 법칙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