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오늘의 포스팅할주제는 동시호가 물량과 시가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량은 전일대비 호가공백이 많아서 한산한 것은 좋지 않습니다.
시초가 물량이 전일대비 증가한 종목중에서 시초가 가
전일 종가에 비래서 얼마나 형성이 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호가의 물량변화와 시가의 의미를 이해하면서
데이트레이드에서 50%는 알고 들어가도 좋다고 할만큼 시초가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됩니다.
시초가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해서 모든주식의 시초가가 다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동시호가시의 물량과 시가를 살펴볼 종목은 따로 있습니다.

초보자가 차트의 기초적인 분석도 미미한상태이며
동시호가의 의미를 알아내기란 쉽지가 않으며 먼저 관심이
가는 중목중 하나를 골라서 거래량과 일봉의 모양을 잘살펴보고 일봉이 각
이동평균선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공부를 해봐야 시가의 의미와
물량변화에 따른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을 알수 있으며
최소한의 매도냐? 매수냐? 홀딩이냐? 등등의 투자판단을 할 수가 있습니다.
전후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동시호가 높게 시작이되었다고
아니면 낮게 시작이되었다고 매수를해버리거나 매도를 해버리면
추가매수해야 될것을 매도해버리거나 매도해야 할 것을
추가매수해서 이익을 챙기지 못하며 오히려 손실을 놀릴 수 있습니다.
그러면 동시호가를 분석을 하는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가가 수일간 횡보시에는주가의 상승폭은 미미하겠지만 주식이
거래량이 살살 늘어가는 주식은 다음날 동시호가 시간대의
물량을 관찰해보아 예상가가 전일대비 약간 플러스나면 매수시기 입니다.
또한 약간 마이너스로 시작하더라도 매도세가 강하지 않고 매수대기물량이 많으면 매수시점이게됩니다.
주가가 상승중에 있을때에는(상한가)

(주가가 전일 적정 거래량을 등반하며 긴 양봉을 나타나거나 상한가로 마감한 주식입니다)
※ 시가가 전일 종가대비 1~3%정도 상승시작인경우에는이때는 매수시점입니다.
약간플러스를 냈었지만 대개 전일 종가 수준으로
오게되면서(순간적인 짧은 음봉이 나타나게됨)어느시점이
경과하면서 매수세가 뭍으면서 추가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시가가 전일 대비 5~7%형성시에는
이때는 지켜보게됩니다.

시가가 높게 형성된 종목은 전일 산사람이 매도를 준비하는 타이밍이 됩니다.
이때는 2가지로 판단이됩니다.
5~7%시가가 형성이되어서 바로 하락하기 시작한다면
충분히 하락하면서 전일
종가부근에 오면은 매수시기입니다.
이런경우에는 대개 장증하락하면서 주가조정을 끝내며
다시 시가를 회복을하고 재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수를 했다면 1차매도 타이밍은 시가에서 하락폭만큼
시가에서 상승한 겂을 기준으로 하시면 됩니다.
예시를 들면 전일 종가 10,000원으로 끝이 났는데
시초가가 10,700원으로 형성이되고 바로 하락하면서
10,200원까지 하락을 했다면(시가대비-500원)
1차매도가는 시가대비 +500원인 11,200원이 됩니다.

이것은주가가 대칭성이나 균형을 이루려는 성질이기 떄문입니다.
(11,200원이 고점이 된다면 주식은 시가를 기준으로 등락을 하다가
종가가 시기와 같아지는 +모양이됩니다)
5~7%시가가 형성이 되며 바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추가매수는 무리이며
주식을 보유한사람은 추세가 꺽이게 되며 상승이 둔화하면 매도를 해야되는 시기입니다.
이런 주식의 매수타이밍은 하락시와 반대로 생각을 하시면됩니다.
10,700원에서 오르기 시작을하여 11,300원에서 꺽이기 시작을 했으면
시가부근이 1차 매수타이밍이며 시가를 이탈을하게된다면 10,100원정도가 매수 시점입니다.

※시가가 10%잇강 형성이되는경우에는
상한가 초기가 아니게되면 고점이므로 무조건 매도이게됩니다.
이런경우에는 대개 상한가를 진입하게되면서 상한가 매수잔량도
많으나 많은만큼 끊임없이 상한가 매도가 물량이 이어져서 결국
고점 대량거래를 등반하고 크게 하락하며 매출벽을 형성을합니다.

※사가가 전일대비 마이너스로 형성이되었을때.
상승추세가 둔화된 경우이며 대개 이런경우 어느정도 상승을 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상승에서 하락으로 주가가 꺽이는 시점에서는 매로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합니다.
주가가 하락중에 있을때에는(상승의 경우와 반대로 생각)
※전일 주가가 크게 하락을하여 음봉을 내며
전일대비 1~3% 하락에서 시가가 형성이 되었을 때는 매도이거나 매수보류입니다.
이런경우에는 상승시와 반대로 전일종가 수준까지 1~2%
잠깐올랐다가 서서히 하락하면서 긴 음봉을 내기가 쉽습니다.

※전일 대비 5%7하락시
관망을하면서 판단을합니다.
이경우에는 상승추세때 마찬가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가가 바로 상승을 하면서 상승이 꺽이는 시점은 매도시이며
주가가 바로 상승을 하면서 상승이 꺽이게되며 시점이
매도시기이며 주가가 바로 하락을하게되면서 하락추세가 둔화가되며
상승으로 반전하는 시점은 최적의 타이밍이며 눌림목이 되기가 쉽습니다.

※전일 대비 2~3%상승시
최적의 매수타이밍입니다.
이때는 매도세력이 약화되며 매수세가 강한것이므로
장중 2~3%하락 조정을 거치고 크게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열 흔들게되거나( + )가 난 종목
이런신호가 상승중에는 나타나면서 잠시 쉬고 재상승하거나
하락반전 될수 있으며 하락중에 나타나면서 잠시 쉬었다가
다시하락하거나 아니면 상승반전 될수있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이때 매수냐? 매도냐? 홀딩이냐?를 판단을 할때 다음날
시가가 중요한 단서를 제곡하게됩니다.

또한 하락중인 종목이 십자를 내고 다음날 시가가 플러스를
시작하게된다면 추가상승이므로 보유한 사람은 홀딩이며
잡지 못했던 사람은 매수 타이밍이 됩니다.
또한, 하락중인 종목이 십자를 내고 다음날 시가가 플러스로
시작하게되면 상승으로 반전이되는 형세이므로 매수타이밍이며
시가가 플러스 1~3%사이가 안정적인 매수 타이밍이게됩니다.
만약에 상승중인 종목이나 하락중인 종목이 십자를 내고 다음날 시가
마이너스로 시작이되면 상승이던 종목은 하락하므로
매도타이밍 이게되며, 하락하던종목은 추가하락하므로 매수보유입니다.
기타 점상한가나 점하한가가 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상한가 밀리거나 하한가가 밀리거나 하더라도 예측하기
어려우며 순간적으로 주가 변화가 이루어져 매수시기를 잡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왜냐하면 상한가 에서 밀리다가 바로 상한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으며
계속 하락추세만을 타는 경우도 있으며 하한가가 풀려서 상상하다가

계속상승하는 경우도 있고 막판에 다시 하한가로 마감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모든 종목읜 동시호가물량이나 시가를 체크해야 할 필요는 없으므로
거래량이 늘어나기시작한 종목(상승 예고) 전일 강하게 상승했거나 상한가인 종목, 상승중에 잠깐 조정중인 종목(전일 일봉이 십자 +) 하락추세가 둔화되는 종목이나
하락하더라도 이평선 지지가 될수있는 종목, 하락중 일봉이
십자나 티자나 난종목( + T추세반전), 등을 중심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가와 이동평균선과의 상관관계도 엄청나게 중요합니다.
상승하던 주식이 상승이 둔화가되며 어느날 시가가
5일평균선아래로 찍히면 바로 (단기) 매도이며,
재매수시점은 10일이나 20일이동평균선이 매수시점이 됩니다.
또한 시가가 20일 바로 아래로 찍히면 중기적인 관점에서 매도입니다.
다음 지지선은 60일선이 되며 주가가 60일선까지 내려갈때는
하락폭으로 줄고, 단기반등의 흉내도 내지만은 지속적으로 하락을 하게 됩니다.
주가가 하락이던 주식이주식이 하락중이라는 것은
5일선 정도는 쉽게 꺠져있는 상태입니다.

20일선이나 60일선위에서 시가가 형성되고 아침부터 풍부한
거래량이 동반하면 상승으로 추세반전이므로 최적의 매수시기가 됩니다.
또한 급상승하던(아니면 조금씩상승중)주식이 어느날 하루 긴음봉이나 하한가르 맞는 종목이라도 종가가 5일선이나 20일선을 꺠지 않게된다면 하한가라도
분할매수 해볼필요가 있습니다.
이런경유는 추가 상승을 하기위해서 겁을 한번 확주고
다음날 세차게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로 시초가의 의미와 관련을 해서 반드시 기억해 두면 유익한 것은
● 시가를 기준으로 해서 주식이 상승하다
꺽여서 하락하는 경우에는
시가가 지지선 역할을 하게 되므로 시가를 깨지 않으면 하락시
매수해 놓으면 장중 조적을 마치고 다시 크게 상승해서 이익을
볼 수있으며 만약 시가를 깨게된다면 이떄는 시가가 저항가격대로 작용을 하게됩니다.
따라서 시가를 꺠게된다면 한차례 깊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고
시가를 살짝꺤 정도에서 이내시가를 회복하면 매수세가
강하므로 분할 매수정도로 고려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가를 기준으로 해서 주식이 하락하였다가 상승반전하게
된다면 "시가가 저항가격대"임을 숙지하시기 바라며 시가에서
깊이 빠질 수록 시가 회복이 쉽지가 않다는 점을 염두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위의 원리를 이해를 하신다면 대강 어느시점이 사야할 시기이며,
이익을 챙기거나 손절할 시점이며, 물타기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 낼 수 있으며
단순히 손절 기준을 3%내지 5%아니면 10%로 막연히 정해 놓은 것은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엇박지지만 쳐가면서 투자기간대비 비례해 손실만이 늘어가는 지름길이 되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주제인 동시호가의
물량과 시가의 의미에대해서알아보았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 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 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매매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매기법의 종류가 어떤것이 있는가(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프로) (0) | 2022.08.26 |
---|---|
거래량에 대한 투자전략(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8.11 |
거래량으로 진입 타이밍 잡기!(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8.10 |
코스트 에버리지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7.12 |
이격도 지표에 대해서 알아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