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스태크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무엇인가?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불황과 물가상승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라는 뜻의 스태그네이션과 상승이라는 뜻의 인플레이션을 합성한 신조어 입니다. 상황이 심해지면 슬럼프플레이션 까지가게 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 불황기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호황기는 물론 불황기에도 물가가 계속해서 상승하고, 그 이유는 경제불황과 인플레이션이 공존하는 상황이 나타나게 되었다고 합니다. 우려해야 할 경제 상황인 스태그플레이션, 이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그 위험성에 대해 뒤에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등장시기는?
스태그플레이션은 탄생은? 스태그플레이션이 생기게 된 이유는 원유랑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1970년대에 세계는 두 차례의 원유파동을 겪는다고 합니다. 1973년에 들어서 1배럴당 (원유 단위) 4달러였던 원유 가격이 1년 내에 14.5달러로 상승한다고 합니다. 다음 1979년에 들어서서 원유 가격은 1배럴당 14.5달러에서 40달러로 상승한다고 합니다. 결국 1980년 원유의 가격은 1973년에 비해 무려 7배나 상승했다고 합니다.
원유를 수입하는 국가의 경우에 원유가의 급등은 경제적인 재앙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원유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실생활에 필요한 많은 상품의 가격을 상승시켰다고 합니다. 이렇게 세계적으로 두 차례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미국의 경우로 보면, 1974~5년의 소비자 물가는 12%가 상승하였고, 1979년의 물가는 무려 13%가 상승했다고 합니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니 상품이 잘 팔리지 않고, 팔리지 않으니 재고가 급증하고 생산은 줄었다고 합니다. 공장은 조업을 중단하고 실업자가 늘어났다고 합니다.
극심한 인플레이션의 상황에서 실업률은 증가하고 산업생산지수는 감소했다고 합니다. 이것이 스태그플레이션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전에도 인플레이션이라는 현상이 존재는 했지만,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은 인플레이션과 본질적으로 다른 형태를 띱다고 합니다. 전의 인플레이션은 생산량이 증가하고 고용을 증가시킨다는 좋은 현상을 수반하는 반면에, 스태그플레이션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 1974~5년은 실업의 증가라는 나쁜 현상이 동반되었던 것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션과 스태그플레이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인플레이션은 이전에도 존재했는데 왜 스태그플레이션만 특별하게 다르다고 하는 걸까? 일반적인 이전의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에는 차이가 존재한다고 합니다. 많은 경제학자는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에서 역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이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반면에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한 축소적인 재정과 금융정책은 성장을 위축시켜 실업자 수가 증가한다고 합니다.
이는 성장과 안정의 상충관계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은 이전의 인플레이션과 본질적으로 다른 형태를 띱다고 합니다. 이전까지 인플레이션이라는 나쁜 현상이 발생하면 생산량이 증가하고 고용을 증가시키는 좋은 현상을 수반해 왔다고 합니다. 그런데 스태그플레이션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 1974~5년의 인플레이션은 나쁜 현상과 산출량의 감소와 실업자의 증가라는 나쁜 현상이 동반되었던 것이라고 합니다. 나쁜 일에 나쁜 일이 더해진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물가는?
우리나라도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에서 자유롭지만은 않다고 합니다. 통계청의 1월 소비자 물가 동향을 보면 2022년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69로 지난해인 2021년 1월 대비 3.6% 올랐다고 합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0월(3.2%) 9년 8개월 만에 3% 대로 올라선 후 2021년 11월(3.8%), 12월(3.7%)에 이어 올해 2022년 1월에도 3%이상 올랐고 합니다. 소비자 물가가 4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인 것은 2010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였던 이후로 10여년 만이라고 합니다.
이례 없는 바이러스가 길어짐에 따라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많은 돈을 시장에 풀었고, 풀린 돈은 물가를 올렸다고 합니다. 그와 동시에 코로나19로 인해서 글로벌 공급망 마비가 왔고, 기업들의 생산활동은 위축되었다고 합니다. 경제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지금도 물가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은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닌 전 세계의 많은 국가가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을 경계하고 있다고 합니다. 경제불황과 물가상승이 겹쳐 최악의 상황을 만들어내는 스태그플레이션, 이런 상황도 있다는 것을 이제는 모두가 알아야 될 부분입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플레이션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14 |
---|---|
그린플레이션은 무엇이지?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14 |
미국 ISM제조업지수 및 PMI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13 |
NAHB 주택시장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13 |
베이지북에 대해서 알아보자!(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