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예대마진 은행의 주요 수익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신금리와 수신금리는 무엇일까?
예대마진을 공부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알아야 되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여신금리와 수신금리이라고 합니다.
1. 여신금리 : 금융기관이 고객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수취할 때 받는 이율이라고 합니다.
2. 수신금리 : 고객이 금융기관에게 돈을 예금할 때 적용하는 이율, 예금금리와 같은 뜻이라고 합니다.
여신과 수신 두 단어는 금융기관의 관점에서 해석해야 된다고 합니다. 즉, 행위의 주체가 바로 금융기관이라고 합니다.
연신으 한자로 줄여 와 믿을 신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은행이 고객들에게 돈을 빌려주는 주체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반면에 수신은 받을 수 와 믿을 신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은행 입장에서는 고객에게 돈을 받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언뜻 들으면 복잡해보이지만, 실제로 우리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단어입니다. 여신금리는 대출금리와 똑같은 말이고, 수신금리는 예적금금리와 같은말이라고 합니다.
예대마진은 무엇일까?
여신 수신금리의 개념을 아셨다고 하면 예대마진에 대한 설명이 한결 수월해진다고 합니다. 예대마진이란? 여신과 수신금리의 차이에서 나오는 수익을 의미 합니다.
★ 예대마진 = 대출이자(수익) - 예금이자(지출)
은행 입자에서는 고객에게 받은 이자가 수익이고, 반대로 만기된 예/적금을 해지할 때 고객에게 지불하는 이자는 지출이라고 생각을 하시면됩니다. 이 차이가 바로 은행이 실제로 얻게 되는 손익이라고 합니다. 전통적인 은행의 수입원이라고 합니다.
예대마진이 발생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여신, 수신금리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래 그래프는 금융기관의 두 금리차를 예시로 들어본 그래프이라고 합니다.
위 차트를 보면 금리차가 약 0.65%~1,0% 정도 차이가 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금리차만큼 금융기관의 수입이 늘어나게 되는 셈이라고 합니다. 은행의 주요 수익원이기 때문에 어느 은행이라도 여신금리가 수신금리보다 항상 높게 책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포스팅 주제인 예대마진, 은행의 주요 수익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디드로 효과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7.01 |
---|---|
[경제용어]블루오션과 레드오션은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30 |
엥겔지수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29 |
[경제용어]매파와 비둘기파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29 |
[경제용어] 페그제와 고정환율제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