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지표

[경제용어] 디드로 효과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by 개미왕 김성욱 2022. 7. 1.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김성욱프로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디드로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드로 효과는 무엇일까?

디도로 효과는 하나의 물건을 갖게 되면 그것에 어울리는 다른 물건을 계속해서 사게 되는 현상입니다. 디드로 통일성이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디도로 효과의 어원을 살펴보면,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고 합니다. 18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드니 디드로의 에세이 (나의 오래된 가운을 버림으로 인한 후회)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수록되어있다고 합니다.

 

그는 친구가 선물해 준 멋진 빨간 가운과 자신의 낡은 물건들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는 가운과 어울리게끔 책상, 의자, 벽걸이등을 바꿔나가다가 결국 집 안의 모든 인테리어를 바꾸게 된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서 많은 돈을 지출한 그는 자신이 빨간 가운의 노예가 되었다며 우울해 합니다.

그 후 소비 패턴을 연구하는 인류학자 그랜트 매크래켄이 1988년 저술한 (문화와 소비)에서는 위의 일화를 인용해서 디드로 효과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줄리엣 쇼어는 1992년 자신의 저서인 (과소비하는 미국인들 : 왜 우리는 우리에게 필요 없는 것을 원하나)에서 이 디드로 효과의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디드로 효과의 경제적 측면은 어떻게 될까?

현 시대를 살아가는우리들에게는 위와 같은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고 합니다. 이는 인간의 심리학에 따른 소비효과입니다. 사람들은 구매한 물품들 사이의 기능적인 동질성 보다는 정서적,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동질성 혹은 통일성을 추구한다고 합니다. 또 이런 현상은 시가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제품일수록 더 커지게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즉, 색깔과 모양 등이 비슷한 물품으로 통일하고싶은 욕구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를 이용한 마케팅 사례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예를 들수 있습니다.

※ 애플 디자인

애플은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여러가지 IT기기를 제작,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제작하는 제품들은 모두 디자인이 비슷비슷합니다. 실제로 아이폰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재구매율은 약 80%이상이고, 아이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다른 애플 기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엄청 많이 있습니다.

 

그렇듯이 디자인의 통일성을 사용해서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애플의 전략은 디드로 효과를 극대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토탈 패션은?

패밀리룩, 커플 룩 같은 토탈패션은 디드로효과를 일반적으로 잘 이용하고 있는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는 옷이 가진 특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옷은 일상생활에서 제일 시각적으로 잘 노출이 되고, 손 쉽게 구매할 수 있고,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즉, 젤 처음의 예시와 같이 정장 한벌을 장만했다고 하면 다른 부분도 이 정장의 디자인에 맞추고 싶은 욕구가 생기게되고, 실제로 우리가 감당할만한 비용으로 이런 욕구를 충족시킬 수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디드로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