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포스팅 주제는 경제용어인 긴축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긴축 정책이란 무엇일까?
긴축 정책은 통화, 재정 분양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통화 분양에서 긴축 정책은 시중에서 불린 돈을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앙은행이 금리인상, 양적긴축과 정책을 시행한다고 하면, 시중의 자금이 감소하는데 이것을 통화 긴축 정책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시중에 돈을 푸는 통화 완화 정책과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합니다.
재정 분야에서 긴축 정책은 정부 예산 감축, 지출 억제/연기 등으로 국민에게 돌아가는 돈을 줄이거나 억제하는 것을 뜻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 지출을 늘리는 재정 확대 정책과 반대된다고 합니다.
미국의 통화 긴축 정책은 무엇일까?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올해 수차례의 금리인상을 시사하였고, 올해 안에 양적긴축 정책을 시작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대비해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는 이미 금리인상을 시작했다고 합니다.(미국에 비해 금리가 높아야 외국인 투자 자금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가계 기업의 신규 대출 수요가 줄어든다고 합니다. 또 기존 대출도 상환하려는 모습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서 시중에 풀린 자금이 줄어드는 결과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양적긴축은 연준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 규모를 줄이는 정책으로 이 역시 시중에 풀린 자금을 다시 거둬들이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테이퍼링은 양적완화 규모를 점차 줄이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정확하게 말하면 이는 여전히 완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고, 완화 규모만 줄이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주식, 채권 시장에서는 이를 긴축 정책과 같은 것으로 인식해서 반응한다고 합니다.
긴축 정책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중앙은행이 통화 긴축 정책을 펼치는 이유는 경기 과열로 인해서 물가 급등을 막기 위해서 이라고 합니다. 중앙은행이 금리인하, 양적완화와 같은 통화 완화 정책을 시행해서 시중에 풀린 돈이 늘어나면 이는 경기 활성화, 소비 증진 효과를 발생시킨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서 물가는 상승할 수 있고, 물가 상승률이 지나치게 높아진다고 하면, 소비자들에게 큰 부담이 된다고 합니다. 중앙은행은 이런 상황이 나타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물가 상승률이 어느 수준에 이르면 통화 긴축 정책을 시행하게 된다고 합니다. 통화 긴축 정책이 시행되면 소비 활성화가 억제되고 물가 상승률은 다시 낮아지게 된다고 합니다.
한편 정부에서 시행하는 재정 긴축의 경우는 재정 건전성 개선을 위해서 시행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정부의 부채가 지나치게 많아질 경우 문제가 되기때문에 부채를 줄이기 위해서 정부는 지출을 줄이거나 연기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긴축 정책에서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이였습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해외선물옵션투자, 시작하고싶다
※해외선물옵션투자에 대해 알고싶다!
밴드
https://band.us/@clm333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고 정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akao.com/o/gpOgngGd
#해외선물 관련 초보자를 위한 기초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https://clm22.tistory.com/ 해당 링크를 통해 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지표란 무엇이고 경제지표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가(해외선물 김성욱 프로) (0) | 2022.08.24 |
---|---|
[경제용어] 추경 예산의 의미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8.02 |
[경제용어] 양적긴축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7.29 |
무상증자의 정의는 무엇일까?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7.28 |
반대매매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해외선물 개미왕 김성욱) (0) | 2022.07.27 |
댓글